십선성취 | 해금, 중도를 말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총지종 작성일23-02-02 14:00 조회2,167회관련링크
본문
불교에서 중도를 설명할 때 소나비구의 이야기를 많이 인용한다. 소나비구는 라자가하에서 부처님의 게송을 듣고 출가한 부유한 장자의 아들로 낮밤을 가리지 않고 정진했지만 수행의 결과가 좀처럼 체득되지 않았다. 아무리 노력해도 속세의 미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자질이 부족한 탓이라 생각한 소나비구는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 보시로 공덕을 쌓는 일에 집중하고자 했다. 이때 소나비구의 그 마음을 아신 부처님께서 직접 그를 찾아오셨다.
“소나꼴리위사, 그대에게 묻겠다. 그대는 집에서 지낼 때 악기를 잘 연주했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
“예, 부처님.”
“그대가 악기를 연주할 때 현을 너무 팽팽히 조이면 소리가 듣기 좋던가?”
“좋지 않습니다.”
“그럼, 지나치게 느슨하면 듣기 좋던가?”
“좋지 않습니다. 부처님, 악기를 연주할 때 현의 완급을 적당히 조율하지 않으면 좋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진리의 길을 걷는 것도 마찬가지다. 의욕이 지나쳐 너무 급하면 초조한 마음이 생기고, 열심히 하려는 뜻이 없으면 태만으로 흐르는 것이다. 그러니 극단적으로 생각지 말고 항상 가운데 길로 걸어가야 한다. 그러면 머지않아 이 속세의 미혹을 벗어나게 될 것이다.”
나는 악기를 잘 다루지 못하지만 예전부터 꼭 배워보고 싶은 악기가 있었다. 바로 해금이다. 어릴 때 고전사극 드라마에서 들려오던 해금 소리가 꼭 내 이야기를 하는 것만 같았다. 그래서 해금을 배울 기회가 있으면 꼭 배워보고 싶었다. 때마침 롯데백화점 문화센터에서 해금 강좌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3개월간 해금을 배우게 되었다.
해금은 작은 울림통에 세로로 대를 세우고 울림통과 대 사이에 두 개의 줄을 연결하고, 그 사이에 말총으로 만든 활대를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오른손은 활대로 줄을 마찰시키고, 왼손은 두 줄을 한꺼번에 감아 잡고 손가락을 쥐거나 떼면서 소리를 조절한다.
해금은 다른 악기들처럼 음정을 맞추기가 쉽지 않고 제대로 소리를 내는 것 또한 쉽지 않다. 해금을 제대로 연주하려면 뛰어난 음감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현과 활의 마찰에서 얻어지는 음들을 정교하고 조화롭게 다룰 수가 있다. 그래서 연주자의 손에 맡겨진 해금에서 예술혼이 살아 숨 쉬는 생명력이 깃든 소리가 발하려면 각고의 노력과 인내가 필요한데 이것은 해금을 연주하는 사람의 노력의 몫이다. 영혼을 울리는 해금소리는 연주자의 절차탁마切磋琢磨의 노력으로 얻어 지는 것이다.
즉, 중도의 이치는 적당한 줄의 조절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 악기를 배워야하는 이유와 흥미가 있어야하며 그 악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어야 한다. 짧고 간단한 연습곡과 배우기 쉬운 동요로부터 시작해서 해금의 기초를 세울 수 있게 설정한 여러 다양한 곡을 난이도에 따라 배열하여 고급단계에 까지 나아가는 연주자의 절차탁마切磋琢磨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