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좌부 불교 수행의 중심 미얀마 세계적인 위빠싸나 수행처로 유명
페이지 정보
호수 182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5-01-02 신문면수 4면 카테고리 불교의 선정 서브카테고리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화령 필자소속 -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철학박사 중앙교육원장 리라이터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5-23 07:08 조회 2,856회본문
상좌부 불교 수행의 중심 미얀마 세계적인 위빠싸나 수행처로 유명
미얀마는 기원전 3세기에 불교를 받아들인 이래 역대 왕조 에 의하여 지속적인 지지를 받아왔다. 특히 5세기 중엽에 스리 랑카로부터 상좌부 불교를 받아들였으며 파간왕조 때는 정교 로서 받들어졌다. 이후 대승불교와 밀교까지도 미얀마에 유입 되었지만 상좌부불교가 정통성을 유지하면서 최근에 까지 이 르렀다. 영국식민통치에 불교는 많은 억압을 받았으며 영국인 들에 의하여 많은 사원이 파괴되기도 하였치만 미얀마인믈의 꾸준한 노력으로 지금은 상좌부불교의 중심국가가 되었다. 특 히 미얀마의 수행법은 많은 불교도들이 그 효과를인정하면서 이제 미얀마는 명상의 세계적인 중심지가 되어 명성을 날리고 있다.
미얀마의 정통적이고 특색 있는 사념처 수행법이 널리 알려 지게 된 계기는 이렇다. 20세기 초 나라다라는 한 미얀마 비구가 깨달음에 바로 이를 수 있는 수행법을 찾아 미얀마 전국올 헤매고 다녔다. 몇 사람의 수행자를 만났지만 만족할 만한 답을 얻지 못하던 차 깊은 산속에서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고 있다는 한 사람의 스승을 만났다. 나라다가 그에게 바로 깨달을 수 있 는 방법을 묻자 그 스승은 이렇게 반문했다. "그대는 어째서 붓 다께서 말씀하신 것을 찾지 않고 다른 데서 방법을 찾으려고 하 는가? 붓다께서 이미 하나의 길을 말씀하시지 않았는가?" 그 스 승이 말한 것은 바로 사념 처 수행이 었다. 나라다는 그 스승의 가 르침을 잘 기억했다가 돌아와서 그에 관련된 경문을 연구하고 거기에 따른 전통적인 해설을 찾아보며 깊이 사유에 들어 정진 수행하였다. 그러다가 마침내 사념처 수행이 어떻게 해탈에 이 르게 하는가를 깨닫게 되었다. 그는 자기의 수행경험을 발전시 켜 하나의 수행방법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이른바 미얀마의 사 념처 수행이 나오게 된 유래이다.
미얀마의 사념처 수행법이라고 하는 것은 미얀마 사람들이 발명했다는 뜻이 아니라 붓다 당시의 전통적 인 사념 처 수행이 미얀마에서 개발되고 적극적으로 진흥되었다는 의미이다. 현 재 미얀마에는 사념처 수행법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세계 각 국의 불교수행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얀마 정 부는 다행히도 이러한 미얀마의 수행단체에 대하여 많은 지원 을 하고 있어 도처에 수행도량이 많이 건립되었으며 수많은 사 람들이 이러한 도량을 중심으로 사념처법을 닦고 있다. 미얀 마의 사념처법은 위빠싸나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위라 는 말과 빠싸나라는 말이 결합한 것인데 이 말에 대 한 해석도 분분하지만 대체로 ‘뛰어난 통찰’의 의미가 있다. 이 말도 사마타와 함께 부처님 시대부터 써내려 오던 용어임은 말 할 것도 없다.
미얀마에는 마하시 사야도, 순룬 사야도, 쉐우민 사야도 등이 제창한 여거 가지 사념 처 수행법이 있지만 대동소이하다. 대부 분이《대념처경》과《청정도론》에 기초를 두고 약간씩 변 형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마하시 사야도에 의하여 제 시된 사념처법이 국제적으로 가장 저명하며 폭넓은 지지를 받 고있다. 마하시의 방법도 각 유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마하시 사야도는 1954년에서 1956년에 걸쳐 미얀마에서 거 행된 제6차 경전 결집대회에서 제1차 결집 때의 마하가섭이 했 던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 삼장법사였다. 마하시의 위싸싸나 수행법은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수련을 하게 하면서 엄격한 내 관의 방법으로 정념을 개발하게 한다. 하나로 변화하는 우리의 심신을 끊임없이, 그리고 세밀하게 관찰하여 철저하게 무아를 깨닫도록 하며 아울러 지혜를 개발하게 한다. 특히 마하 시의 수행방법은 전통적으로 호흡을 관찰하기 위하여 코끝을 주시하는 것과는 달리 호흡에 따라 복부의 일어나고 꺼지는 것 을 관찰하는 방법을 쓴다. 이것은 호흡보다는 현저하게 드러나 는 복부의 일어나고 꺼지는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 훨씬 더 수월 하고 집중이 잘된다고 보았기 때문일 것 이다. 다른 유파보다도 마하시의 방법이 훨씬 대중적이고 널리 알려진 데에는 아마도 이러한 간편성과 효율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어떠한 수행방법이든지 몸과 마음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삼법인을 통찰하고 무상의 지혜를 얻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며 부처님 당시의 수행법이 현대에 와서 조금씩 변형된 것에 불 과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
- 182-4-1.jpg (좌)미얀마 마하시 선센터에서 (중앙교육원장 화령정사), (우)아침 발우공양에 나서는 미얀마 스님들 (110.7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5-23 07:08:33
- 182-4-2.jpg (318.8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5-23 07:0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