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불공견삭관음보살

페이지 정보

호수 162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3-05-06 신문면수 8면 카테고리 밀교의 불보살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법경 필자소속 -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5-31 12:22 조회 2,478회

본문

연재글: 밀교의 불보살 (13회)

불공견삭관음보살

42a2299294b0a490cea24a7c18171b78_1527736929_6768.jpg
 


불보살이 지니고 있는 물건을 지물이라하는데 그 지물의 의미를 들여다 보면 그 불보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그 불보살의 역할과 공덕력을 알 수 있다. 연꽃은 깨달음의 완성을 의미하고 금강저는 굳센 믿음과 불퇴전을, 약병은 치유의 공덕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물 가운데 특이하게 밧줄을 지닌 보살이 있 으니 바로 육관음보살 가운데 한 분인 불공견삭관음보살이다. 견삭을 견색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두 가지의 음이 있으므로 불공견삭보살 또는 불공견색 보살이라 하는 것이다



대비의 그물과 밧줄로 일체중생을 구제하는 관음보살


불공견삭보살의 명호 가운데 ‘견삭’ 은 올무 형식의 동 아줄을 말한다. 견은 ‘올무 견’ , ‘그물 견’ 의 한자어이고, 삭자는 ‘동아줄 삭' 이다. 견삭은 그물이나 밧줄을 의미한 다. 밧줄을 지닌 보살이므로 불공견삭관음보살이라 이름이 붙 여진 것이다. 지물 가운데 견삭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밧줄은 어떤 의미가 있길래 불공견삭관음보살이 이 지물을 지니고 있을까?

밧줄은 어떤 물체를 매거나 얽거나 연결하거나 또는 끌거 나 당기거나 매다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 다. 또 두 가닥 이하로 꼰 것을 줄이라 하고, 세 가닥 이상으 로 꼰 것을 밧줄이라 부르고, 또 가늘고 굵은 것에 따라 끈, 밧줄로 구분한다. 그러나 굵고 가는 것의 정확한 한계를 구 분하기는 어렵다. 대체로 지름 3mm 이내의 것을 줄로 보고 그 이상을 밧줄로 본다고 한다.

굳이 밧줄의 용도, 끈과 밧줄의 구분을 자세히 언급하는 이유는 바로 그러한 의미로써 불공견삭보살이 지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불공견삭관음보살의 공능을 상장하고 있다. 어떤 물체를 끌거나 매달려면 가느다란 줄 보다 튼 튼한 밧줄이 더 제격이다. 불공견삭보살의 지물이 끈이 아니라 밧줄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무명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데 어찌 가느다란 끈으로 가능하겠는가. 동아줄로 된 튼튼한 밧줄이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불공견삭관음보살의 밧줄은 바로 견삭보살의 공덕력을 의미하고 있는데, 그 공덕력은 바로 무명중생들을 단단히 보호하고 구제하는 것이다. 관세음보살다운 자비로움의 밧줄이다.

불공견삭보살은 대비로써 번뇌와 고통에 빠져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시는데, 그 도구가 바로 그물과 밧줄이다. 관세음보살의 대비는 그물과 밧줄로 비유되고, 구제 받아야 할 무명중생은 새에 비유된다. 중생인 새를 자비의 그물로 포획하는 보살이 바로 불공견삭보살이다. 또 중생을 고기에 비유하여 대자비의 낚싯줄로 중생인 고기를 낚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 보살이다. 새나 고기를 포획하려면 단단한 그물과 밧줄이 필요한 것처럼 중생구제를 위한 대자비의 밧줄은 없어서는 안되는 지물이다. 단단하고 튼튼한대자비의 그물과 밧줄이다.

이와 같이 대자비는 모든 변화관음보살에게 공통적으로 흐르고 있는 키워드이다. 관세음보살이 근원적으 로 자비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육관음보살들이 제각기 다른 지물을 지니고 있지만 중생구제를 위한 마음 은 한결같다. 단지 다른 지물과 방편을 쓰고 있을 뿐이다.

 

42a2299294b0a490cea24a7c18171b78_1527736938_9164.jpg
 


아모가파샤는 ‘헛되지 않도록 원을 이루어지게 한다’는 뜻


이 보살은 산스크리트어로 ‘아모가 파샤’ 라고 한다. 아모가는 ‘불공’ 이란 말인데, ‘헛되지 않음’ ‘확실한’ 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 보살을 믿으면 그 믿음이 헛되지 않아 반드시 원을 이루게 된 다고한다.

파샤는 ‘견삭’ 이란 말인데, 인도에서 전쟁이나 사냥할 때 쓰던 무기의 일종으로 고리가 달려있는 밧줄로 된 올가미를 말한다. 이 올가미에 걸리면 누구도 빠져 나 갈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살생과 억압의 무기인 견삭을 불공견삭관음보살은 자비를 베푸는 도구로 변용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 계신다. 그 자비의 올가미로 한 사람 이라도 새어 나가지 않도록 그물을 던지고 밧줄을 잡아당긴다. 고통 속에 허덕이는 일체중생들을 한 명도 빠뜨지 않고 모두 구제하겠다는 대자비의 발심이 바로 불공견삭관음보살의 지물에 나타나고있다.

이러한 불공견삭관음보살의 경전상의 근거는『불공견삭 신변진언경」이다. 이 경에서 관음 보살이 보타락가산의 궁전에서 과거에 가르침을 받은 바 있는 ‘불공견삭심왕모다라니진언’ 의 공덕을 설한 사실을 서술하고 있는데, 여기에 불공견삭보살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 경에 보면 주문을 외우는 자는 현세에서 20가 지의 공덕을 얻고, 임종흐 때는 8가지의 이익을 얻는다고 한다. 또한 이 경전에는 개인적인 이익 뿐만아디라국가 차원의 이익을 설하고 있다. 즉 나라가 어지러울 때 이 ‘불공 견색심왕모다라니진언’ 을 외우면 국토 내의 모든 사람들 이 안온하게 지낸다고 한다.

그래서 진호국가를 강조하여 중국이나 일본 에서는 이 보살을 중히 여기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는 그다지 주목 받고 있지 않지만 강원도 낙산사의 보타전 의 칠관음보살 가운데 한 분으로 불공견색관음보살이 봉안 되어 있기도 하다. 국태민안을 염원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니 진호국가의 의미라고 보여진다. 


42a2299294b0a490cea24a7c18171b78_1527736950_1946.jpg
 


견삭은 중생구제의 도구이자 관세음보살의 공덕력을 나타낸다


이 불공견삭보살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불공견삭 관음보살은 일면사비,삼면사비,삼면육비,십면팔비,십일면이십비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대체로 몸은 백 색이고,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는데 거기에 는 화불이 새겨져 있다. 중생을 성불로 이끌려는 발 원의 의미다.

존상은 일반적으로 삼면삼목사비 를 취하고 있다. 세 개의 얼굴과 거기에 각각 세 개의 눈이 있 고, 네 개의 팔을 지니고 있다. 왼쪽의 첫 번째 손에는 활짝 핀 연꽃, 두 번째 손에는 견삭,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염주,두 번째 손에는 조병을 지니고 있다. 이 여섯 가지의 지물은서로 연관성을지니고있는데, 견 삭으로 중생을 건져내고, 조병으로 중생을 씻 기며, 염주로써 정진수행케 하여 구경에는 만개한 연 꽃처럼 깨달음을 이루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보관의 화불은 깨달음, 즉 성불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방편은 당연히 견삭이다. 견삭으로 중생을 건져내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중생을 한 명 도 빠짐없이 건져내는 것이 불공견삭관음보살이 맡고 있는 가장 중요한 직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불공견삭관음보살의 지물인 견삭은 바로 중생구제를 위한 도구이자 견삭보살의 공덕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오늘부터 우리는 마음에 각자 자비의 밧줄을 하나 씩 가져보자. 다음호에서 준제관음보살을 살펴보기로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