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박물관 보존과학 40년을 한 눈에 본다

페이지 정보

호수 197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6-04-04 신문면수 6면 카테고리 특집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3 11:31 조회 2,697회

본문

박물관 보존과학 40년을 한 눈에 본다
「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

o 전시명 : 박물관보존과학 40주년 기념특별전 <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

o 기 간 : 2016년 3월 8일 ~ 5월 8일

o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 1층 특별전시실

o 전시품 :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 등 57점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57049_0401.jpg

삼양동 출토 금동관음보살 입상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57048_9931.jpg
문화재 연구소 보존과학실을 견학하는 학생들


우리가 박물관 전시실 유리창 너머로 보는 문화 재와 문화유적지는 많은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보존 된다. 문화재는 이미 오랜 세월을 지나온 유물로 그 보존을 위한 특별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문화재는 한 국가와 개인의 소장품을 떠나 인류 전체가 공유하고 보존해야 할 공동의 자산이다. 최 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고궁박물관은 소장 유물 의 보존과 수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떤 과학적 작업들이 이루어지는가를 다루는 특별 전시들이 열 리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2016년 3월 8일 에서 5월 8일까지 특별전 “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특별전시를 개최한다. 올해는 국립박물관에 서 보존과학이 시작된 지 40주년이 되는 의미 깊은 해이다. 이번 전시는 지난 40년간의 박물관 보존과 학의 역사를 조명하고, 보존과학의 역할과 성과를 소개한다. 박물관 보존과학 초창기부터 최근까지 보존처리 된 문화재중 대표적인 문화재 57점을 선보인다. 

우 리문화재의 재료와 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 보 조물 60여점을 활용하여 총 5부로 구성하였다. 프롤로그에서는 박물관보존과학 초창기의 보존 처리 활동 등을 되돌아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국 보 제91호 기마인물형 토기(하인상), 국보 제127호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366호 감은사지 서삼층 석탑 사리외함 등 박물관보존과학 초창기의 국보급 문화재 복원과정을 유물과 당시의 기록들을 함께 정리하였다. 현재는 보존과학이 여러 종류의 재질에 따라 전 문분야가 세분화되어있지만 90년대 이전까지만하 여도 한 사람이 2~3종류 이상의 재질을 담당했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57078_0646.jpg
용무늬 주전자 복원 전후


지금보다 시설과 장비, 전문성이 부족했지만 우리문 화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던 열정만큼은 누구보 다도 컸던 시기였다. 1부 ‘우리 문화재의 재료와 기술을 보다’에서는 90년대 이후에 활발하게 진행해온 현대과학기술의 도입과 응용의 결과물을 통해 과학의 발전이 문화 재 보존과학에 미친 영향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특 히 문화재조사 연구에 X선, 적외선, 자외선 등“빛”을 이용한 장비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하여 우 리문화재의 내부구조를 들여다보게 되었다. 각 재질 별 전문 인력의 확보로 우리문화재의 전통기술 연 구에 많은 성과를 이룬 시기다. 금속, 도자기, 서화, 목재, 석재 등 각 분야별 대표 적인 재료들을 소개한다. 그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 한 문화재들의 실물과 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대표 적으로 금속의 누금과 주조기술, 도자기류의 동화· 철화·청화기법, 서화의 배채법, 목공예품의 나전기 법 등 우리문화재 속에 숨어있는 전통기술을 유물 과 전시보조물을 함께 구성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 도록 하였다. 

2부 ‘병든 문화재를 치료하다’에서는 최근에 보존 처리 된 유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2014 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의 최대성과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신라금관총 “이사지왕 대도”등 최근의 보존처리 성과물들의 처리 과정을 유물과 처리영상 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보 제193호인 봉수형유리병은 1980년대 1차 보 존처리 이후, 2014년 다시 보존처리한 사례다. 처음 보존처리 진행할 당시부터 재료의 열화나 변색으로 인한 재처리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보존처리를 실시 하였기 때문에 30년이 지난 후 가역적인 보존처리 가 진행될 수 있었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57098_4862.jpg
초상화의 적외선 투시 조사법


보존철학과 보수규범적인 관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지니고 있는 사례다. 용 구름무늬 주자는 최근 새롭게 3D스캐닝 기법 을 활용하여 복원한 문화재로 문화재복원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시실 내부에 보존처리실을 재현하여 지 금까지의 전시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문화재 치료 과 정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박물관의 보존처리 공간은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는 장소이기에 일 반 관람객이 보존과학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기회 가 될 것이다. 3부 ‘문화재의 생명을 연장하다’에서는 최근 보존 과학분야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박물관의 환 경관리에 대한 주요 활동을 소개한다. 금속문화재의 부식, 직물류 피해 등 문화재에 해를 끼치는 요인들 에 대해 박물관은 환경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볼 수 있다. 

에필로그에서는 이번 전시에 소개하지 못했지만 보존과학 역사에서는 중요한 국보·보물급 문화재 들이 어떻게 복원되었는지 당시의 보존처리 기록을 아카이브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보존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전시기간 중 주 중 1일 2회(오전 10시, 오후 2시)전시해설을 운영한 다. 주말에는 초등학생 중에서 선발한 “미래의 보존 과학자”가 어린이들 눈으로 이해한 보존과학 해설 (1일 1회, 오후 2시)을 진행한다. 매주 수요일 야간개 장일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시간(오후 7시)을 통 하여 보다 심층적인 해설을 접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