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자관의 경전 근거와 관법(觀法)
페이지 정보
호수 204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6-11-02 신문면수 5면 카테고리 강공교학강의 서브카테고리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법경 필자소속 -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밀교연구소장 법경 정사 리라이터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4 11:08 조회 2,491회본문
제88회 추계강공회 교리강의
밀교연구소장 법경 정사
“람”자관은 번뇌망상을 없애는
진언종자의 관법이다.
“람”자를 관함으로써 번뇌망상을 없애고
선정에 들어 청정법계를 이루게 된다.
(좌) ‘람’자는 경전과 수법(修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청색삼각단에 백색 람자는 『대일경』 과『현밀원통성불심요집』
에 근거한 것으로, 사종수법의 항복법에 쓰이는 람자이다.
(우) 둥근 백색 원단(圓壇)에 적색 ‘람’자는 『대일경』 과『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총지종에서 염송할 때
관하는 ‘람’자이다. ‘람’자에서 명주(明珠) 와 만월(滿月)같은 밝은 빛이 나고, 다시 ‘람’자가 붉은 적색으로 변하여 번뇌망상을
없앤다는 내용에 근거해서 ‘람’자를 관하고 있다.
밀교의 수행법은 삼밀수행이다. 삼밀수행은 몸과 입과 뜻으로 행하는 밀교의 비밀수행법으 로, 입으로는 진언을 외우고, 몸[손]으로는 행하 는 결인과 뜻[마음]으로 행하는 관법을 말한다. 이를 신밀·구밀이라 한다. 그래서 삼밀이다 . 삼밀을 통해 중생은 부처되기 위해 수행하면 서 일체중생을 구제하는 화도방편(化導方便)을 펼친다. 이를 생기차제와 구경차제로 설명하고 대승보살의 수행인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 提 下化衆生)과도 맞닿아 있다. 이 가운데 의밀(意密)의 관법은 아주 중요하다. 선정(禪定)에 들게 하는 의궤법이기 때문이다.
총 지종은 신밀(身密)인 결인과, 구밀(口密)인 진언, 의밀(意密)의 관법을 모두 갖추어 수행하고 있다. 총지종의 관법수행은 무엇이 있는가. 혹자는 관법은 중요치 않고 오로지 진언수행 만 하면 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건 그렇 지 않다. 삼밀이 모두 중요하다. 때에 따라 경전 에서는 일밀(一密) 또는 이밀(二密)을 설하고 있 으나 근본적인 것이 삼밀이다. 사밀 가운데 특히 진언수행을 매우 중요시 하 여 최상승의 수행이라고『대일경』에서 교설하 고 있지만, 의밀의 중요성 또한 그에 못지 않다.
‘람’자를 관할 때는 양손으로 ‘대삼매인(大三昧印)’의 수인(手印)을 맺는다. 이 수인을 ‘
대삼매야인(大三昧耶印)’, ‘삼매야인(三昧耶印)’이라고도 한다. 대삼매인을 결함으로써
진언행자 자신은 깊은 삼매에 들게 된다.
정신이 맑지 않으면 결인과 진언은 아무런 소 용이 없기 때문에 의밀의 관법도 중요하게 다루 어 지고 있다. 총지종에서 행하고 있는 관법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진언종자를 관하는 것이 고, 다른 하나는 특정 대상을 관하는 것이다 . 전자를 종자관(鍾子觀), 월륜관(月輪觀)이라 하 며 ‘람’자관과 호마의 사종법(四種法)의 진언종자 를 관송(觀誦)하고 있다. 후자는 어떤 특정대상을 관하는 것으로는 본 존관(本尊觀), 만다라관(曼茶羅觀)이 있다.
본존( 本尊)은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훔’이며 이를 외우 며 관(觀)하는 것이다. 만다라관은 양부만다라를 관하는 법과 진호 국가불사의 수호국계주진언을 관하고 오방(五 方)의 오불(五佛)과 사방(四方)의 사보살(四菩薩)· 사대명왕(四大明王)·사대처왕(四大天王)을 관하 는 법이다. 종조 원조 대종사의 재세시이자 창종 당시부 터 행해왔던 관법이다. 종자관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람’자관이다. ‘람’은 여러 경전에서 많 이 언급되고 있지만, 총지종의 지송의궤(持誦儀 軌)로서 자세하게 설해지고 있는 것은 오직『현 밀원통성불심요집』이다. 여기에는 ‘람’자를 비롯한 다양한 진언과 종자 들이 설해지고 있다.
총지종의 ‘불사의궤(佛事儀 軌)’ 법요집은 거의 대부분이 여기에 근거하고 있 다. 총지종의 소의경전이『대일경』『금강정 경』『대승장엄보왕경』『대승이취육바라밀다 경』이라고 한다면,『현밀원통성불심요집』은 총지종의 소의의궤서(所依儀軌書)에 해당한다 고 할 수 있다. 여기에 근거해서 ‘람’자를 관하고 있다. ‘람’자 는 경전마다 내요이 조금씩 다른데, 특히 ‘람’자 의 색상(色相)과 단(壇)의 모양, 단(壇)의 색상들 이 똑같지 않다. 이 가운데『현밀원통성불심요 집』의 내용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여기에 맞추 어 관법을 행하고 있다. 이『심요집』은 중국 요나라의 도진 선사가 말년에 찬술한 밀교의 의궤서로서, 소승과 화엄· 천태·선의 대승교학과 수행법을 아우르면서 현 밀(顯密)의 쌍수(双修)를 역설하고, 특히 준제진 언에 의한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진 언종자 ‘람’자를 관(觀)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정수리 위에 ‘람’( )자가 있다고 관한다. 둘째, ‘람’자에서 밝은 진주[明珠]나 밝은 만월( 滿月)처럼 광명의 빛이 난다고 관한다 . 셋째, ‘람’자가 불[火]로 변하여 정수리에서 발 에 이르기까지 번뇌의 몸인 자신을 모두 불태우 는 것을 관한다. ‘람’자관을 함으로써 자신의 번뇌망상은 사라 지고 마음은 고요해져 청정삼매에 들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
- 204-5-1.jpg (15.6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6-14 11:08:42
- 204-5-2.jpg (좌) ‘람’자는 경전과 수법(修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청색삼각단에 백색 람자는 『대일경』 과『현밀원통성불심요집』 에 근거한 것으로, 사종수법의 항복법에 쓰이는 람자이다. (우) 둥근 백색 원단(圓壇)에 적색 ‘람’자는 『대일경』 과『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총지종에서 염송할 때 관하는 ‘람’자이다. ‘람’자에서 명주(明珠) 와 만월(滿月)같은 밝은 빛이 나고, 다시 ‘람’자가 붉은 적색으로 변하여 번뇌망상을 없앤다는 내용에 근거해서 ‘람’자를 관하고 있다. (20.0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6-14 11:08:42
- 204-5-3.jpg ‘람’자를 관할 때는 양손으로 ‘대삼매인(大三昧印)’의 수인(手印)을 맺는다. 이 수인을 ‘ 대삼매야인(大三昧耶印)’, ‘삼매야인(三昧耶印)’이라고도 한다. 대삼매인을 결함으로써 진언행자 자신은 깊은 삼매에 들게 된다. (44.7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6-14 11:0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