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사라하의 노래

페이지 정보

호수 219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8-02-01 신문면수 8면 카테고리 지혜 서브카테고리 정성준 교수의 후기밀교

페이지 정보

필자명 정성준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정성준 교수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7 10:23 조회 3,034회

본문

사라하의 노래

646c56014f9cdbe65056995a0b095389_1529198572_2763.jpg 

정성준 교수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후기밀교의 한 갈래인 사하자야나는 삼보와 스승에 대한 절대적 귀의를 통해 번뇌와 알음알이를 짧은 삶 동안 태우는 실천중심의 수행을 지향한다. 이들의 시 를 담은 벵갈의 도하문학은 실용적 경향 의 불교를 전하는데, 여기에는 논리학자 와 형식적 의례에 빠진 밀교사제들을 비 판하는 내용이 적지 않게 보인다. 사하 자야나의 전승은 <마하무드라의 노래> 와 <사라하의 노래>, <84성취자전> 등 에서 볼 수 있다. <밀라레빠의 십만송> 은 마르빠를 비롯한 티벳인들의 구도와 전승을 담은 것이다. 

사하자야나가 남긴 오도의 시들은 고 벵갈어로 티벳대장경에 현존한다. 사하 자야나의 원류는 붓다로 거슬러 올라가 아들인 라훌라로 전해지고, 다시 쉬르끼 르띠로부터 사라하-용수보살로 이어진 다. 라훌라로부터 쉬르끼르띠까지는 무 려 천삼백 여년 이상의 시간적 간극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전승은 역사적 실존 이 아닌 종교적 신념에 입각한 것이다. 여기서 용수보살은 중관학파의 용수가 아니고 <비밀집회딴뜨라>의 한 유파로 10세기경 활동하였다. 사라하는 <84성취자전>에 등장한다. 사라하는 동인도 라즈니Rajnī 출신으로 바라문교의 위대한 학승으로서 마하빨 라왕의 스승이 되어 존경을 받았다. 그 러나 출가해서는 나란다사 대학에서 현 교와 밀교를 수학했다. 마지막에는 대학 을 떠나 화살을 만드는 낮은 신분의 젊 은 여인을 요기니로 받아들여 대성취를 이루었다.

 사라하는 ‘화살로 관통한다’ 는 뜻으로 딴뜨라의 깊은 깨달음을 상징 하는 것이었다. 사라하 이후 전승은 깐 하 Kanha, 샤와리 Savar, 루이빠 Luipa 등 으로 이어지면, 이미 친숙한 틸로빠와 나로빠에게 전해진다. 사라하의 밀교수행은 후원자인 마하 빨라왕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사라하가 타락한 것으로 오해한 왕은 네 명의 브 라만을 보내 설득하려 하였다. 사라하는 160송의 시로 이들을 감화시켰고, 다시 왕비를 위해 80송, 마라빨라왕을 위해 40송의 시를 남겼는데, 지금도 전해진 다. <사라하의 노래> 제1 게송에는, “고요 한 연못 위에 바람이 불면 수면(水面)은 파도로 부서지듯 왕(王)이여, 그대는 나 를 여러 측면으로 생각하지만 나 사라 하는 한 사람이네”라고 하였다. 

 마음현 상을 수면의 파랑에 비유한 <능가경>의 도입부분을 떠올리게 한다. 15번째 게송 에는, “어리석은 자는 거울에 비친 얼굴 을 자신의 얼굴로 착각하네, 진리를 거 절해 버린 마음이여 진리 아닌 것을 진 리라고 굳게 믿고 있네”라고 하였다. 마 음의 경계를 비실재의 공성으로 보고, 형상을 만들어 내는 마음에 주목하는 것 은 전형적인 유가행중관파의 논리이다. <사라하의 노래>에는 열반, 유식, 인식, 연기공성 등 주요한 대승의 교학이 게송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사하자야나 싯다들의 실용적 경향은 밀교수행에 대해 적극적 지지를 보내지 만 결코 교학의 기초를 소홀히 하지 않 았다. 인간의 현실을 직시하고 내면의식 의 경험에서 야기된 번뇌를 벗어나는 것 은 인간의 삶속에서 가능한 것인지 모른 다. 

 인간의 피붙이로 태어나 육신의 욕 망과 갈증을 끌어앉고 성장하면서 사회 적 권위와 가식, 폭력을 익히며 스러지 는 몸에서 병고와 죽음의 고통을 느끼며 외로이 죽어간다. 싯다들은 존재의 현실 을 피하지 않았다. 무수히 나부끼는 의 식적 습관들을 버리고, 권력, 돈, 갈애 등 의 욕망을 마주했다. 그래서 천족의 요 기니와 살고,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시장 에서 매춘부와 어울려 살았다. 인도 사하자야나의 성립은 10세기 전 후 극렬해진 이슬람의 대대적인 침공으 로 인해 불교교단이 더 이상 인도에서 존속할 수 없다는 위기감의 발로일지도 모른다. 교단의 흥망을 보장할 수 없는 현실이 문헌의 문학적 수사나 논리적 유 희를 거부한 배경일 수도 있다. 

 수백 년 이 지난 후 티벳인인 마르빠 Marpa는 꿈 속에서 사라하로부터 관정을 받고, 오의 의 가르침을 들었다고 한다. 이후 밀교 수행자들은 사하자야나의 스승들로부 터 여전히 관정과 가피를 받는 이적들을 보인다. 밀교의 스승들은 열반에 들지만 성취자로서 법신과 화신을 성취한 분들 이며 여전히 유정의 고통과 함께 하며 그들을 찾는 제자들에게 가피를 내리는 것이다.


646c56014f9cdbe65056995a0b095389_1529198587_0344.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