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유식(唯識), 모든 것은 오직 마음작용에 지나지 않는다

페이지 정보

호수 221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8-03-30 신문면수 11면 카테고리 통신원 소식 서브카테고리 왕불심 초보교리학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도현 필자소속 밀행사 필자호칭 주교 필자정보 밀행사 주교 도현 정사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20 10:15 조회 2,973회

본문

유식(唯識), 모든 것은 오직 마음작용에 지나지 않는다

646c56014f9cdbe65056995a0b095389_1529457321_1544.jpg
 


여덟층으로 나눈 인간의 마음구조, 유식불교의 8식(識) 구조론 


절대적 초월자에 의한 구원을 거부 하며 자신의 마음을 살펴서 마음의 실 태를 파악 하고 거기에서 구원과 깨달 음을 찾고자 했던 고타마 싯다르타로 부터 시작한 불교의 마음공부는 그 뒤 를 따르는 많은 수행자들에 의해 조직 화, 논리화 되었다. 그러한 흐름 속에 한층 더 체계화된 흐름이 있었는데 그것이 오늘날 우리 들이 알고 있는 유식불교이다. 유식(唯識)은 위즈냐프티 마트라 (vijña pti-mātra)의 번역이다. Vijñapti는 ‘마음 작용’, mātra는 ‘오직’이라는 뜻이 다. 

따라서 유식이란 ‘모든 현상은 오직 마음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 는 뜻이다. 현실에서 내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느끼고 그리고 인식하는 모든 것은 각자의 경험이나 환경, 상황에 따 라서 다르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다섯가지 감각 기관(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과 그것을 종합하여 판단, 분별하는 마음 (識)의 인식이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이 다. 이러한 이유와 원인을 말나식과 알 라야식을 더해서 인간의 마음을 8식 구 조로 설명하는 것이 불교 유식이다. 유식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단어 “알 라야”라고 하는 용어 자체는 원시경전 인 아함경에도 있으므로 새롭게 만들 어진 용어는 아니다. 

물론 유식에서와 같은 의미로 사용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알라야는 ālay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저장’을 뜻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면서 경험한 모 든 것들을 스스로가 인식 못하지만 마 음 깊은 곳에 저장되어 있는데 그곳이 여덟 번 째 마음, 알라야식인 것이다. 그래서 유식불교는 인간의 마음은 눈, 귀, 코, 혀, 몸이 인식하는 다섯 가지 생각(前五識)과 이것들을 분별 판단하 는 여섯 번째 생각(六識)에 말나식(七識) 과 알라야식(八識)을 더해서 여덟 개의 마음구조, 즉 8식 구조로 이루어 졌다 고 하는 불교심층심리학이 확립된 것 이다. 



본래의 유식은 수행을 통해서 체득한 체험적 지혜였다. 


불교가 유식을 논리화 하고, 이론화, 체계화 하여 유식불교라는 장르로 오 늘날까지 이어 내려 왔지만 보다 넓은 시야에서 말한다면 유식은 인도 수행 의 전통 안에서 생겨난 학문이다. 인도에서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좌선, 명상, 요가수행 등의 긴 역 사와 심오한 전통이 있는 수행방법들 이 있다. 붓다 이전 옛날부터 수천 년 동안 끊이지 않고 그들의 실제 수행의 체험 안에서 유식의 기본개념인 알라 야식이나 말나식이 생겨난 것이다. 

유식학을 형성했던 사람들을 유가행 파(瑜伽行派)라고 불러지는데 여기서 유가라고 하는 것은 요가의 한역이다. 즉 유식은 불교적인 요가수행을 오 래 동안 쌓아오면서 이루어진 이론임 을 알 수 있다. 오늘날에 와서 유식학은 방대한 문 헌을 가진 엄밀하고 복잡한 이론체계 로 변하였지만 초기에는 수행자들이 수행을 통해서 습득한 체험적인 지혜 였던 것이다. 



마음의 작용에 따라 같은 대상도 같은 상황도 다르게 받아들인다. 


유식불교에서는 눈앞에 일어난 현실 상황에 대한 인식이나 인간 내면의 반 응을 모두 마음의 작용으로 설명한다. 행복이나 불행뿐만 아니라 인간의 희로애락의 감정표출이나 좋고 싫음 의 감정도 오직 마음의 작용으로 설명 한다. 마음의 작용에 따라 같은 대상이나 사건도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수십 년을 같이 살아온 남편을 갑작 스러운 사고로 먼저 보내는 충격적인 상황 속에서도 오히려 더욱 헌신적으 로 어린 자녀들을 잘 키우는 아내가 있 는가 하면, 어린 자녀들을 남겨두고 삶 을 포기해 버리는 아내도 있다. 

상황을 인식하는 마음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일이다. 따라서 마음의 실체를 규명하면 모 든 정신현상을 규명할 수 있게 되고 갈 등과 고통이 왜 생겨나는지 알 수 있으 며 결국은 갈등과 고통을 극복할 수 있 다는 것이다. 하지만 마음에 대한 문제는 지식이 나 이론으로 해결될 성질의 것이 아니 다. 만약 그것이 지적 이해만으로 가능 하다면 자기실현은 정말 쉬울 것이며 집착을 끊고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 도 매우 간단할 것이다. 현실 속에서 우리들의 고통과 갈등 은 오직 각자의 경험과 통찰 그리고 수 행으로서만 해결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