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익큰명절『설』그 의미와 유래는?
페이지 정보
호수 159호 발행인 지성[이기식] 발간일 2013-02-01 신문면수 6면 카테고리 특집 서브카테고리 -페이지 정보
필자명 김종열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자료정리 김종열 기자 리라이터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01 12:13 조회 2,209회본문
중국의 역법이 들어오기 이전부터 우리 민족은 고유의 역법으로 명절을 지냈다.
설날의 의미
설날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본래 설날은 조상 숭배와 효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선대 조상과 자손이 함께 하는 아주 신성한 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대부분이 도시 생활의 굴레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에 와서 설날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곧 도시 생활 오는 긴장감과 강박감에서 일시적으로나마 해방될 수 있는 시간이라는 의미도 함께 지니게 된 다. 설날은 세속의 시간에서 성스러운 시간으로 옮겨가는 시간이라 할 수 있다.
평소의 개인적인 세속 생활을 떠나서 조상과 함께 하며 정신적인 유대감을 굳힐 수 있는 성스러운 시간이 바로 설날인 것이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을 떠나서 국가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설날은 아주 의미 있는 날이다. 국민 대부분이 고향을 찾아 떠나고, 같은 날 아침 차례를 올리고, 또 설빔을 즐겨 입는다. 여기에서 우리는 같은 한국 사람이라는, 같은 한 민족이라는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볼 때도 설날이 가지는 의미는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한다는점에서는 단순한 명절 이상의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설날의 어원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세 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먼저 설날을 ’낯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 설음'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설날은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 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설날은 "선날’'즉 개시 라는 뜻의 "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설날을 "삼가다"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란 뜻이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 원단, 정조, 세수, 세초, 세시, 연두, 연시 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설날의 유래
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미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설날을 명절로 삼기 위해서는 우선 역법 이 제정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날의 유래는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가 나름대로의 역법을 가지고 있었음은 중국인들도 진작 인정하고 있었다.《삼국지 》에 이미 부여족이 역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신라 문무왕 대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와 조력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미루어 보더라도 우리 민족은 단순한 중국 역법의 모방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속력이나 자연력을 가졌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짐작할 수 있다. 신라의 독자적인 명절이라 할 수 있는 가위나 수릿날의 풍속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우리 민족이 고유한 역법을 가졌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는 중국 전래의 태양태음력이나 간지법 이외에 우리 고유의 역법 제정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설날은 적어도 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태양태음력을 받아들인 이후 태양력을 기준으로 제정된 것으로 생각할수 있다.
한편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서도 설날의 유래를 추측해 볼 수 있다.《수서》를 비롯한 중국의 사서들에는 신라인들이 원일의 아침에 서로 하례하며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이날 일월신을 배례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삼국사기 》〈제사〉편에는 백제 고이왕 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 동명왕 사당에 배알하였다고 한다. 이때의 정월 제사가 오늘날의 설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이미 이때부터 정월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설날과의 유사성을 짐작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제36대 혜공왕(765-780) 때에 오묘(21:태종왕, 문무왕, 미추왕, 혜공왕의 조부와 부)를 제정하고 1년에 6회씩 성대하고도 깨끗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정월 2일과 정월 5일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설날의 풍속이 형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설과 정월 대보름-삼짇날-팔관회-한식-단오-추석-중구-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 - 단오 ’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 고려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 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
설날의 민속놀이
고싸움놀이
전남 광산군 대조면 질석리 윳돌 마을에서 매해 음력 정월 10일경부터 2월 초하루에 걸쳐서 벌이던 놀이다.
큰 줄을 꼬아 앞쪽에 고를짓고 이것을 양쪽에서 밀어서 부딪게 한 다음 상대방의 고를 땅에 내려뜨린 쪽이 이기게 된다. 이 놀이의 유래에 대해 마을 주민들은 윷돌 마을이 황소가 쭈그리고 앉은 와우상이라 터가 거세기 때문에 이를 풀어주기 위해 시작하였다고들 한다. 그러나 이러한 속설은 전남 일대의 큰 마을마다 퍼져있는 이야기이다. 고싸움놀이를 줄다리기 놀이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먼저 어린아이들의 고싸움으로 시작하여 다음날에는 청소년들 그리고 본격적으로 청년들의 고싸움으로 커가며 마을 간의 대항전을 벌인다. 197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 33호로 지정되었다.
널뛰기
부녀자들의 대표적인 놀이로 전국에 고루 분포하며 음력 정초를 비롯해 단오 한가위.등 큰 명절에 행해진다.
마당에 짚이나 가마니로 널밥을 만들어 놓고 기다란 널판을 얹어놓고 두 사람이 널의 양편에 각각 올라서서 널을 뛰는 놀이 이다. 널뛰기의 유래에 대해서 다만 그 놀이의 형태나 성격으로 미루어 폐쇄적 여성관이 자리 잡기 전인 고려 이전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시대의 여성윤리는 가능한 한 여성들의 자연스러운 몸놀림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시대에서의 널뛰기는 비인간적 제약 아래에 있던 여성들에게 하나의 탈출구였다.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세계 곳곳에서 신분 연령의 구별 없이 즐겨오는 놀이다. 대가지를 가늘게 잘라서 연살을 만들고 종이를 붙여 연을 만들고 살에 매어 바람 부는 언덕에 올라 날린다. 때로 다른 사람과 서로 연실을 끊는 연싸움을 하기도 한다. 연을 날릴 때 송액영복 이란 글자를 써 붙이는데, 이것은 질병 사고 흉년 등 나쁜 액운은 멀리 사라지고 복이 오도록베는 마음에서 이다. 우리나라에서 연날리기가 널리 민중에게 보급된 것은 조선시대의 영조 때라고 한다. 영조왕은 연날리기를 즐겨 구경했고 또 장려하였다고 한다. 정월에 연날라기가 성행하게 된 이유는 사계절 중이 때가 연날리기에 가장 적당한 바람 인 북서풍 이 부는 계절이다.
팽이치기
겨울에 사내 아이들이 얼음판위에서 많이 하는 놀이로 ‘도래기치기’ 라고도 한다. 팽이에는 아래쪽은 뾰족하게 깎고 위는 평평하게 깎아 만든 보통 팽이와 위 아래 모두 뾰족하게 깎아 만든 불팽이가 있다. 얼음판이나 땅바닥에 손으로 팽이를 돌린 다음 가는 막대기에 헝겊 또는 삼실을 달아 만든 팽이채로 쳐서 세게 돌리는데 여러 아이들이 저마다 팽이를 힘껏 친 후 일제히 팽이채를 거두고 가장 오래 가는 팽이를 장원으로 뽑는다. 지금은 어느 곳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추억의 놀이가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
- 159-6-1.jpg (132.3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6-01 12: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