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제멋대로' 죽음에 대한 담론 <엘리펀트>
페이지 정보
호수 177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4-08-04 신문면수 11면 카테고리 영화 서브카테고리 -페이지 정보
필자명 김은주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김은주 자유기고가 리라이터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5-24 12:33 조회 2,826회본문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제멋대로' 죽음에 대한 담론 <엘리펀트>
‘장님 코끼리 만지기’라는 말은〈열반경〉에서 비롯됐습니다. 옛날 인도 어떤 왕이 장님 여섯 명을 불러 손으로 코끼리를 만져 보고 각기 자기가 알고 있는 코끼리에 대해 말해 보도록 하였습 니다.
상아를 만진 장님은 무같이 생긴 동물이라고 하고, 귀를 만졌 던장님은 곡식을 까불 때 사용하는 키같이 생겼다고 우기고, 다 리를 만진 장님은 절구공이같이 생긴 동물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코끼리 등을 만진 이는 평상같이 생겼다고 우기고, 배를 만진 이는 장독같이 생겼다고 주장하고, 꼬리를 만진 이는 굵은 밧줄 같이 생겼다고 외쳤습니다.
다들 자신이 만진 것을 코끼리라고 생각했습니다. 장님으로서 는 당연한 결론입니다. 자신이 아는 것을 바탕으로 진리를 유추 할 수밖에 없으니까요. 그러나 진실은 어떻습니까? 장님으로서 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영화〈엘리펀트〉(미국, 2004)는 위의 우 화에서 제목을 빌어 왔습니다. 영화는 미국을 깜짝 놀라게 만들 었던 사건, 1999년 컬럼바인 고교의 총기난사 사건을 소재로 했 습니다. 앞서 마이클 무어 감독이〈볼링 포 컬럼바인〉에서 다큐 멘터리 형식을 통해서 콜럼바인 총기사건의 맨얼굴을 보여줬다 면 ‘구스반산트‘ 감독은 이 사건을 소재로 삶과 죽음 이라는 인간 존재의 근유적인 문제에 접근했습니다.
우화에서 왕이 여섯 명의 장님에게 코끼리를 만져보고 코끼리 에 대해서 말하게 하였던 것처럼 영화에서는 12명의 아이들을 쫓아다니면서 죽음의 징후와 이유를 찾습니다. 영화는 알렉스와 에릭이라는 왕따 소년들이 총기로 무장한 채 학교로 들어와 무 차별 폭력을 행사하기 전의 16분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사고로 학생 12명과 교사 한 명이 죽었습니다. 죽기 전 16분을 통해 죽 음의 예측 가능성이나 필연성 등을 찾아내고자 했으나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고도 결코 코끼리를 몰랐던 것처럼 감독 또한 목 적을 달성할 수 없었습니다. 죽음은 인간 인식 밖의 영역이었던 것입니다.
영화는 맑은 가을 하늘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쪽빛 하늘엔 하얀 구름이 흘러갑니다. 모였다 흩어졌다, 모양을 바꿔 가며 흐릅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밤이 찾아오고 하늘은 검은 빛으로 변합니다. 그리고 다른 날이 찾아오고, 학교 운동장에서 달리기를 하던 한 소녀가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여전히 하늘은 쪽빛이고, 양털구름이 낮게 깔려 있습니다.
오프닝은 꽤 길었습니다. 분명 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이 실 려 있는 시퀀스였습니다. 왜냐하면 하늘을 올려다보던 그 소녀 의 모습이 머릿속에서 채 지워지기도 전에 소녀는 죽기 때문입 니다. 오프닝 다음으로 영화에서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롱테이 크와 ‘들고 찍기’로 촬영한 아이들의 뒷모습입니다. 뒷모습은 집 요하고 불안하게 보입니다. 뒷모습과 함께 베토벤의〈월광소나 타〉와〈엘리제를 위하여〉라는 음악이 흐릅니다. 운동장을 가 로질러 묵묵히 걷고 있는 뒷모습, 그리고 끝없이 이어지는 긴 복 도를 따라가며 아이들의 뒷모습을 끈기 있게 담아내고 있는 카 메라, 장차 자신이 무슨 일을 저지르는 지도 모른 채 피아노 건 반을 두드리고 있는 소년의 뒤통수, 단조롭다면 단조로운 장면 이지만 베토벤의 음악과 어울려 시적인 장면을 연출해냅니다.
그런데 영화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보여주었던 뒷모습 은 나중에 알렉스와 에릭이 하는 게임화면에서 다시 만나게 됩 니다. 영화에서처럼 뒷모습을 보이면서 사람들이 어딘가로 가고 있고, 그 뒤를 총구가 겨누고 있습니다. 물론 발사 명령을 내리 는 것은 알렉스와 에릭이고요. 알렉스와 에릭의 손동작 하나로 게임 속 사람들은 고꾸라지면서 죽어갑니다.
다시 영화로 돌아와서, 카메라가 불안한 모습으로 아이들의 뒤를 따라가는데 그런데 얼마후 아이들은 게임에서처럼 알렉스 와 에릭이 쏜 총을 맞고 죽습니다. 그런데 게임 속 아바타를 죽 인 것은, 총구를 움직인 또 다른 아바타가 아니었습니다. 그 아 바타에게는 어떤 의지도 없습니다. 알렉스와 에릭이라는, 보이 지 않는 존재에 의해 아바타는 움직일 뿐이었지요.
게임에서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목숨도 알렉스와 에릭에 의 해 빼앗긴 것이 아닙니다. 알렉스와 에릭은 게임의 또 다른 아바 타에 지나지 않습니다. 알렉스와 에릭으로 하여금 총을 쏘게끔 명령한 다른 존재가 분명 있습니다. 카메라가 쫓는 아이들의 뒷 모습 속에서 다른 존재의 시선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조롱’이 담긴 시선이었지요, 이제 16분 후면 죽을 운명인데 그것도 모른 채 애인을 만나러 가는 걸음에 다른 여자도 한 번 돌아보는 여 유, 죽는 순간에도 죽는 줄 모르고 카메라를 들이대는 방심, 이 처럼 아무 것도 모르는 아이들에 대한 비웃음이 느껴졌습니다.
이처럼 사람들을 조롱하는, 현실이라는 화면 밖의 존재는 도 대체 어떤 존재일까? 게임을 하던 알렉스와 에릭이기도 하고, 오 프닝 후 바로 등장하는 존의 아버지이기도 합니다. 술 취한 채 운전하다가 다른 집 화단을 들이받기도 하는 사람, 그러니까 그 존재에게 합리성이나 선한 의지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우린 이 이상한 존재가 운전하는 차안에 갇힌 불쌍한 존재일 분입니 다. 우리 운명은 어떻게 되냐고요?
미셸의 죽음은 참 어이없었습니다. 오프닝에서 하늘을 올려다 보던 소녀가 바로 미셸입니다. 학교에서 미셸은 없는 사람 취급 받았습니다. 뚱뚱한 다리를 가리 기 위해 늘 긴 바지만 입는 미셸 이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을 때 다른 소녀들은 그녀가 앞에 있 는데도 대놓고 ‘멍청이’라고 욕하지만 미셸은 아무 말도 하지 못 했습니다. 묵묵하게 자기 할 일을하고는 다음 목적지인 도서관 을 향해 뛰어갑니다. 도서관에 도착해서 책을 정리하는 순간 알 렉스와 에릭이 들어오고 미셸은 첫 희생자가 됩니다.
미셸은 가해자들에게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고, 또한 그들과 마찬가지로 학교생활이 불행했었는데 그런데도 미셸이 가장 먼 저 죽은 것입니다. 술 취하지 않았다면 결코 만들 수 없는 설정 입니다. 죄 없는 자의 불행은, 그리고 나약한 자의 불행은 이해 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지요.
게임에서 다른 아바타를 넘어뜨린 것이 또 다른 아바타가 아 니라 알렉스와 에릭이었던 것처럼 영화를 통해서 보면 에릭과 알렉스의 처지 또한 게임 속에서 총을 잡고 있던 다른 아바타에 지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카메라는 에릭과 알렉스의 뒤를 쫓 아가지만 그들에게서도 뚜렷하게 살인의 동기를 찾기 어려웠으 니까요.
알렉스는 피아노 앞에서 베토벤의 음악을 연주했으며, 에릭은 컴퓨터 게임을 하다가 책을 읽 었습니다. 그러다 총기를 구입했 는데, 그 모습은 너무나 즉흥적이었습니다. 갑자기 생각난 일을 처리하는 것처럼 심드렁했습니다. 끔찍한 재앙의 필연적인 이유 는 없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범행의 핵심에 왕따문제를 거론하지 만 영화는 이 견해에 반기를 들기 위해 범행의 첫 번째 희생자로 왕따 소녀 미셸을 지정했던 것입니다. 왕따가 이유가 될 수 없다 는것입니다.
영화를 통해 본 죽음의 모습은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제멋대 로였습니다. 피살자를 선택하는 기준도 제멋대로였고, 또한 피 살자들에게 조금의 단서도 주지 않을 정도로 불친절했습니다.
감독에 의하면 우리 처지는 카메라 앞에서 뒤통수를 보이며 걷던 아이들과 다름없고,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리 고 그 죽음의 결정권자는 게임을 즐기던 소년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존재, 술 취한 듯한 그 누구인 것입니다. 미셸이 올려다보 던 하늘에 혹시 있는지 모르는 그 존재인데 그 존재는 술 취한 남자처럼 제 정신이 아닌 것이고, 그래서 우리의 처지가 참 가여 운 것이라고 했습니다. 열 두 명의 아이들을 쫓아다니며 삶과 죽 음을 지켜본 감독이 죽음에 대해 내린 결론입니다.
그렇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죽음은 무엇일까요? 영화에서 보 여준 것처럼 제멋대로이고, 술 취한 남자처럼 통제 불능이고, 갑 작스런 것일까요?〈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에서 노 선사는 빠진 이빨을 버리는 퍼포먼스 정도로 죽음을 이해했습니다. 불 교는 죽음의 원인이나 형태에 집중하기 보다는 죽음을 받아들이 는 태도에 더 마음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죽음을 당하 는 자아에 집중했을 때는 영화에서처럼 이해 불가능한 현실에 그 누구를 원망할 수도 있지만 불교에서는 죽음을 맞는 자아가 존재한다는 기본 설정 자체를 부정했습니다. 내가 없다는 걸 알 면 죄도 사라진다고 한 것처럼 내가 없다면 죽음도 없는 것이므 로 죽음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저 빠진 이 빨을 버리는 퍼포먼스에 지나지 않는 것이지요. 그러니 그저 담 담할뿐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
- 177-11-1.jpg (99.4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5-24 12:33:08
- 177-11-2.jpg (50.9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5-24 12:3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