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페이지 정보

호수 186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5-05-08 신문면수 10면 카테고리 문화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5-21 10:55 조회 3,137회

본문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보물 제 1777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어지 

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 신라 말에서고려초


fd3887b4db6708a734a2f63c500ed5a1_1526867712_7959.jpg
제1752호 제1777호 합천해인사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통일신라 말-고려 초에 제작된 목조불상으로 101가 넘는 크기에, 조형성은 물론 조각적인 완성도까지 갖춘 작품이다.

동글동글한 나발 이상화된 얼굴과 당당한 신체 표현, 신체에 감기듯 팽팽하게 걸쳐 입은 편단우견의 착의형 식과 더불어 치켜세운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쥔 지권인의 형태, 긴장감 넘치게 조각된 옷주름 등은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제작된 불상들과 양식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복장유물로는 다라니, 발원문 그리고 후령통 등 여러 종류의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1167년경과 1490 년의 중수 때 납입된 것이다. 특히 1490년에 납입된 후 령통은 안립 절차에 입각하여 정확한 형식을 갖추고 있 는데, 이는 조선 후기 『조상경』이 간행되기 이전에 이미 복장의식이 정립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사씨일가에 의해 납입된 반야심경의 발 원문은 1167년(고려 의종 21)에 불상에 대한 중수가 있 었음을 말해주는 자료여서 이 불상의 하한연대 결정에 결정적인 자료이다.

이 밖에 1150년, 1156년, 1166년에 각기 판각한『대 비로자나성 불경 등일대 성교중무상일승제경소설일체다라니』가 발견되었다.

복장물 가운데 3점의 조각보는 조선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 조각보의 역사가 500년 이상 되었다 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또한 저고리는 조선 초기의 홑저고리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후령통 내부의 오보병은 그 구성이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독특한 방식을 갖 추고 있어 직물사와 복장물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자료제공 = 문화재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