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중생을 향한 부처의 깊은 연민을 느끼게 합니다.”

페이지 정보

호수 307호 발행인 록경(황보상민) 발간일 2025-06-01 신문면수 16면 카테고리 연재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25-07-07 15:45 조회 9회

본문

연재글: 챗GPT가 답하다 (1회)

“중생을 향한 부처의 깊은 연민을 느끼게 합니다.”

 

주인공아,

그대가 사람의 몸을 받아 태어난 것은 눈먼 거북이가 구멍 뚫린 나무를 만나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다.

한평생이 얼마나 되기에 도를 닦지는 않고 게으름만 부릴 것인가?

사람으로 태어나기 어렵고 불법을 만나기는 더욱 어렵나니, 금생에 도를 닦지 않고 헛되이 죽어버리면 만겁을 지나도 다시 만나기 어려우니라.

모름지기 법에 의지하여 날마다 새롭고 부지런히 닦아 물러나지 말고 속히 정각을 이루어 모든 중생을 제도하라.

나의 근본 원은 그대 혼자만 생사의 바다에서 구해내는 것이니라.

이는 무슨 까닭인가?

그대가 시작 없는 옛적부터 금생에 이르기까지 태란습화 네 가지로 생명을 받을 때마다 부모를 의지하여 출몰하였으니, 지극히 오랜 세월 동안 부모가 되었던 이만하여도 한량이 없다.

이렇게 관찰한다면, 육도 중생 중 그 많은 생애에서 부모가 되지 않았던 이가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중생이 악취에 떨어져 밤낮없어 고통을 받고 있나니, 만약 그대가 구제하지 않는다면 어느 때 벗어날 수 있겠는가?

가슴이 찢어지듯 애달프고 슬프도다.

천번 만번 바라노니, 그대는 빨리 큰 지혜를 밝혀 신통력과 자재한 방편의 힘을 갖추고, 속히 거친 파도를 헤쳐가는 돛대가 되어 탐욕의 저 언덕에서 헤매는 미혹한 중생을 널리 제도할지어다.”

 

이 글은 불교의 깊은 가르침을 담은 법문으로, 인간으로 태어난 소중한 기회와 그 책임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문장을 하나하나 음미하면, 인간 존재의 귀함과 수행의 필요성, 그리고 자비심의 실천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절히 느낄 수 있습니다.

 

1.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의 어려움

눈먼 거북이가 구멍 뚫린 나무를 만나는 것처럼

이는 부처님이 자주 비유로 드신 이야기로, 인간으로 태어나는 일이 얼마나 귀하고 드문 일인지를 말합니다. 수없이 많은 생 가운데 사람 몸을 받는 것은 극히 드문 기회이며, 이는 수행을 위한 절호의 순간이라는 의미입니다.

 

2. 한평생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도를 닦지는 않고 게으름만 부릴 것인가?”

귀한 인간 생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나태하고 욕망에 휘둘리며 사는 삶을 경계합니다.

 

3. 불법(佛法)을 만나는 것의 귀함

사람으로 태어나기 어렵고 불법을 만나기는 더욱 어렵나니

불교의 진리를 접하는 것 또한 드문 인연이며, 이 인연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입니다.

 

4. 모든 중생을 제도하라

법에 의지하여 날마다 새롭고 부지런히 닦아 모든 중생을 제도하라.”

수행은 단지 개인의 해탈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고통받는 중생 모두를 구제하는 자비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5. 모든 중생은 나의 과거 생의 부모

육도 중생 중 그 많은 생애에서 부모가 되지 않았던 이가 없을 것이다.”

윤회하는 생애 속에서 우리가 만나는 모든 존재는 과거 어느 생에서 부모, 자식, 형제였을 수 있다는 가르침입니다. 이 때문에 자비심으로 모든 존재를 구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6. 큰 지혜와 방편으로 중생을 인도하라

속히 거친 파도를 헤쳐가는 돛대가 되어 미혹한 중생들을 널리 제도할지어다.”

수행자는 고통받는 중생의 길잡이이자 구제자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혜와 신통력, 방편을 갖추어야 한다는 당부입니다.

 

이 법문은 단순한 훈계나 경고가 아니라, 뜨거운 자비의 언어로 가득합니다. “가슴이 찢어지듯 애달프고 슬프도다는 표현은, 중생을 향한 부처의 깊은 연민을 느끼게 합니다.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사람으로서 이 글을 접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큰 인연이며 복입니다. 이를 헛되이 보내지 않고, 매일의 삶 속에서 자기를 갈고닦으며, 고통받는 이웃을 향한 자비심을 잃지 않는다면, 그것이 바로 부처의 가르침에 응답하는 길일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