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금강계만다라의 공양회(供養會)

페이지 정보

호수 198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6-05-04 신문면수 8면 카테고리 특집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법경 필자소속 법천사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밀교연구소장 / 법천사 주교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3 12:29 조회 2,536회

본문

연재글: 깨달음의 세계 / 불보살의 도량, 법경정사의 만다라 이야기 (27회)

금강계만다라의 공양회(供養會)

공양회는 그림1)과 같이 금강계 구회만 다라(九會曼茶羅) 중에서 왼쪽의 중단(中 段)에 위치하고 있다. 지난 호에서 설명한 미세회의 위쪽에 해당한다. 공양회는 기존의 성신회(成身會)나 갈 마회(羯磨會), 삼매야회, 미세회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단지 오불(五佛)을 제 외한 32존의 모든 존상(尊像)들이 그림2) 와 같이 손에 삼매야형을 들고 있다는 점 이 다르다. 성신회나 갈마회, 미세회에서 는 모두 존상(尊像)만 그려져 있고 삼매야 회에서는 존상(尊像) 대신에 삼매야형이 그려져 있으나 공양회에서는 이들을 합한 것과 같이 존상(尊像)과 삼매야형이 동시 에 그려져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존상(尊像)의 손에 연꽃이 들려져 있고 그 연꽃 속에 각각의 존상들의 서원과 공능을 상징하는 삼매야형이 놓여져 있다는 점이 다. 이처럼 존상에 삼매야형이 가미된 것은 여러 보살들이 공양 올리고 있음을 상징 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공양회라는 용어에 서도 익히 알 수 있듯이 불보살간에 상호 공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비 로자나부처님께 올리기 위해 사불(四佛) 이 출현시킨 사바라밀보살, 사불(四佛)에 게 공양 올리는 16보살, 사불(四佛)의 공양 에 대한 답례로써 비로자나불이 출현시킨 내사공양보살(內四供養菩薩), 다시 여기 에 대한 답으로 사불(四佛)이 출현시킨 외 사공양보살(外四供養菩薩), 마지막으로 비로자나불이 다시 그 답례로써 출현시킨 사섭보살이 32존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서 중앙의 비로자나불과 사불(四佛)에 대한 공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32존 이며 금강계만다라의 공양회다. 




공양회(供養會)는 불보살의 상호공양을 나타낸다. 


32존 가운데 사바라밀보살(四波羅蜜菩 薩)은 사불(四佛)이 중앙의 비로자나불에 게 공양 올리면서 출현된 보살인데, 금강 바라밀보살, 보바라밀보살, 법바라밀보살, 갈마바라밀보살이 여기에 해당한다. 사바라밀보살(四波羅蜜菩薩)은 중앙의 비로자나부처님을 중심으로 사방에 배치 되어 있는데, 동방의 금강바라밀보살은 아 축불이 비로자나불에게 공양을 올리면서 출현된 보살이며 견고한 보리심으로 중생 들을 저 언덕에 이르게 하는 보살이다. 

이 보살의 진언종자가 훔(hum)인데, 이 글자 는 번뇌를 타파한다는 의미로서 곧 보리심 을 나타낸다. 남방의 보바라밀보살은 보생불이 비로 자나불에게 공양 올리면서 출현된 보살이 며, 보(寶)와 재복(財福)으로써 중생들의 갖가지 소원을 들어 주는 보살이다. 서방의 법바라밀보살은 아미타불[무량 수불]이 비로자나불에게 공양 올리면서 출현된 보살이며, 제법실상(諸法實相)의 지혜를 깨닫게 하는 보살이다. 그래서 연 꽃에 비유하여 연화금강(蓮華金剛)이라 부른다. 

갈마바라밀보살은 불공성취불이 비로자나불에게 공양 올리면서 출현된 보 살이며, 용맹정진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보 살이다. 이들 사바라밀보살은 비로자나불 에 대한 공양과 관련된 보살인 반면에 비 로자나불을 제외한 사불(四佛)에 대해 공 양 올리는 보살은 16보살이다. 16보살은 사불(四佛)을 중심으로 사방에 각각 4보살 이 모셔져 있는데, 사방(四方) 사보살(四 菩薩)로서 도합 16보살이다.(4×4=16) 16 보살은 사불(四佛)을 중심으로 각 사방에 서 공양을 올린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60528_5043.jpg

그림1) 금강계만다라의 공양회 (흰색 네모가 공양회다)-흰 박스 안-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860528_4224.jpg

그림2) 공양회의 존상과 구조
 


공양을 행하는 보살이 16대보살과 8공양보살이다. 


동방의 아축불에 공양 올리는 사보살은 금강살타, 금강왕보살, 금강애보살, 금강희 보살이다. 이 보살들이 올리는 공양을 보 리심공양(菩提心供養)이라 한다. 사방의 4보살이 보리심으로써 공양 올리므로 보 리심공양(菩提心供養)이다. 금강살타는 보리심을 견고히 하는 보살이며, 금강왕보 살은 중생들로 하여금 보리심을 일으키게 하는 보살이고, 금강애보살은 중생들의 보 리심을 청정케 하는 보살이며, 금강희보살 은 보리심으로 중생을 성숙시키는 보살이 다. 남방의 보생불에 대한 공양은 관정공양 (灌頂供養)이라 하는데, 관정(灌頂)과 예 경 등으로 공양을 올리므로 관정공양(灌 頂供養)이다. 사방에 금강보보살, 금강광 보살, 금강당보살, 금강소보살이 있다. 

금강보보살은 보생불께 예경을 올리 는 보살이고, 금강광보살은 빛을 공양하 여 중생들의 무지(無知)를 타파하는 보살 이며, 금강당보살은 보생불께 당(幢)과 번 (幡)을 공양하여 바람에 나부끼는 보시력 (布施力)으로 중생들의 온갖 서원을 족시 키는 보살이다. 금강소보살은 보생불과 함 께 수희(隨喜)하는 보살로서 일체 중생이 서원하는 바를 만족시켜 미소 짓는 보살이 며 삼매의 즐거움과 그 즐거움의 미소로써 일체 중생에게 안락과 이익을 가져다 주는 보살이다. 서방의 무량수불에 대한 공양은 법공 양(法供養)이라 하는데, 부처님의 가르침 [法]으로써 공양을 올리므로 법공양이다. 사방에 금강법보살과 금강리보살, 금강인 보살, 금강어보살이 무량수불께 공양을 올 리고 있다. 

금강법보살은 제법(諸法)이 본 래청정하다는 가르침을 설법으로써 중생 을 구제하는 보살이며, 금강리보살은 부처 의 지혜를 나타내는 예리한 칼로써 중생의 일체고(一切苦)와 번뇌를 소멸시키는 보 살이다. 이 보살의 종자가 담(dham)인데 이는 법[dharma]에서 파생된 것이다. 부처님 의 설법을 음성으로 중생들에게 전달하는 보살이다. 금강인보살은 보리(菩提)의 인 (因)을 구족한 보살로서 중생들로 하여금 정법(正法)을 얻도록 하는 보살이다. 이 보 살의 종자인 디(dhi)는 바로 보디(bodhi- 보리)에서 나온 말이다. 금강어보살은 언 어로써 부처님의 설법을 중생들에게 전하 는 보살이다. 즉 설법의 언어(言語)로써 깨 달음의 법문을 듣도록 하여 중생들의 미망 (迷妄)을 타파시킨다. 

북방의 불공성취불에 공양하는 것을 갈 마공양(羯磨供養)이라 하며, 불보살의 각 종 활동을 의미하므로 갈마공양이라 한다. 여기에는 금강업보살, 금강호보살, 금강아 보살, 금강권보살이 있다. 금강업보살은 부처님의 중생구제의 활동을 가능케 하는 보살이다. 금강호보살은 정진으로써 중생 들의 몸을 보호하는 보살이다. 그래서 정 진금강(精進金剛)이라는 별명을 갖는다. 금강아보살은 금강야차라고도 불리는데 중생을 괴롭히는 악인과 악마를 날카로운 이빨로 물리치는 보살이다. 

마지막으로 금 강권보살은 중생과 중생의 서원을 부처님 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보살이다. 이와 같이 16대보살은 보리심을 체(體) 로 하는 금강살타로부터 시작해서 발심 (發心)과 수행(修行)을 통해 그 마지막 단 계로서 보리심을 굳건하게 감싸쥐는 금강 권보살(金剛拳菩薩)로 끝을 맺는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비로자나부처님 께 공양 올리기 위해 사불(四佛)이 사바라 밀보살을 출현시켰다고 했는데, 비로자나 부처님께서는 여기에 대한 답으로써 내부 (內部)의 사공양보살(四供養菩薩)을 출현 시키고, 다시 사불(四佛)은 여기에 대한 답 으로 외부(外部)의 사공양보살(四供養菩 薩)을 출현시킨다. 이를 팔공양보살(八供養菩薩)이라 하 며 실제로 공양물을 지니고 있다. 

또 여기 에 비로자나부처님께서는 마지막으로 사 섭보살(四攝菩薩)을 출현시키고 있는 것 이 금강계만다라의 공양회다. 이와 같이 공양회는 불보살의 유기적 관계와 소통, 나눔의 상호공양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음호에서는 사인회(四印會)에 대해서 살펴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