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주역참동계’ 등 4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예고

페이지 정보

호수 196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6-03-01 신문면수 11면 카테고리 문화/종합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3 11:46 조회 450회

본문

‘주역참동계’ 등 4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이 ‘주역참동계’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주역참동계’는 후한조 위백양의 저술로, 도가의 심신수련 방식과 장생불로를 위하여 복용하는 단약의 제조법에 관한 4~5자의 운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주역참동계’는 명 조 초 기 에 장 본 진 이 송말원초에 유염이 저술한 ‘주역참동계발휘’(3편)와 ‘ 주 역 참 동 계 석 의 ’ ( 3 편 ) 를 합본하여 간행한 것을 원본으로 1441년(세종 23)에 초주갑인자로 인출된 것이다. 초주갑인자로 간행된 ‘주역참동계’는 이것이 유일본으로, 조선 초기의 도가사상과 장례풍속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학술적·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귀중본이다. 

‘은제도금화형탁잔’은 은에 금을 입힌 탁잔으로, 잔과 잔을 받치는 잔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잔과 잔탁의 형태는 모두 6개의 꽃잎형으로 이루어져 고려 은제탁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조형적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격조 높은 탁잔은 고려 문벌귀족 문화가 화려하게 꽃피웠던 12~13세기의 금속공예를 비롯하여 청자에 이르기까지 널리 제작·사용되었으며, 1123년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를 방문하고 기록한‘선화봉사고려도경’을 통해 그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잔과 잔탁의 입술과 몸체 안팎으로는 모란의 나뭇가지를 묘사한 모란절지문, 꽃무늬, 연꽃의 꽃잎을 펼쳐 놓은 모양을 연속무늬로 문양화한 연판문 등을 세밀하게 새겨 넣어 화려함을 극대화하였고, 잔 받침대에 오돌토돌 타출기법으로 올린 꽃무늬 또한 흠잡을 데 없이 정교하여 고려 시대 가장 뛰어난 시기의 금속공예 자료이다. ‘서경우 초상 및 함’은 조선 중기 문신 서경우의 초상으로, 지금까지 큰 손상 없이 원래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관복과 함께 착용하는 오사모를 쓰고 옷깃이 둥근 흑색의 단령을 입은 좌안 7분면의 전신교의좌상이다. 의복의 가슴에는 한 쌍의 학을 묘사한 쌍학흉배가 수놓아져 있으며, 사모는 끝이 평평하고 양쪽으로 펼쳐진 양각은 넓고 짧으면서 둥근 17세기 초의 양식을 반영하였다. 아울러 양미간에 몇 개의 주름선으로 표현된 진지한 풍모와 양쪽으로 뻗치는 의자 손잡이 등도 17세기 초의 시대성을 보여주는 요소들로 17세기 초상화의 우수한 수준을 잘 담았다. ‘서문중 초상 및 함’은 조선 후기 문신 서문중의 초상으로, 조선 시대 시복본 전신좌상 가운데 높은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오사모에 담홍색 시복을 착용하고 허리띠인 삽은대를 두른 전신교의좌상으로, 의자인 교의에는 표범가죽이 덮여 있고 발밑의 족좌대에는 무늬가 없는 민돗자리가 깔려 있다. 좌안 7분면의 얼굴은 코와 눈두덩 주위의 움푹 들어간 부분, 입 주위 등의 주름을 뚜렷이 표시한 후 음영을 넣어 묘사하였다. 

알맞은 신체 비례와 비교적 사실적인 옷 주름선, 상과 교의, 족좌대의 합리적 연관성 등은 18세기 초 이후의 양식을 뚜렷하게 반영하였고, 초상화를 보관한 조선 후기의 함도 남아 있다. 서경우 초상과 서문중 초상은 조선 중기 17세기 초와 조선 후기로 넘어가는 18세기 초에 유행한 화풍상의 특징을 공신상과 평상복인 시복상 양면에서 각기 잘 반영된 수작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 제작된 초상함은 초상화와 함께 역사성을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어 함께 문화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주역참동계’ 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