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킹공을 들다" 우리 곁에 오신 관세음보살

페이지 정보

호수 118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09-09-13 신문면수 11면 카테고리 종단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김은주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김은주(자유기고가)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20-02-16 16:50 조회 3,675회

본문

연재글: 영화에서 불교보기 (6회)

"킹공을 들다" 우리 곁에 오신 관세음보살

d32e7b7cc77b53cbb53360baf739e4ec_1581839399_3589.jpg
 


아마도 불교에서 가장 유명한 불보살 님은 관세음보살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 비의 화신인 관세음 보살님은 불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보살이지요. 어려움에 처한 중생이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을 부 르면 그 소리를 듣고 보살님은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을 구제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관세음보살님은 어떤 모습으 로 중생을 구제할까요? 절에 걸린 탱화, 아니면 불상에서 보이는 그 원만한 상호 로 중생 곁에 나타날까요? 누구라도 보 살임을 알게끔 발광을 보이면서 특별한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물론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항상 이런 모습으로 중생 곁에 오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관세음 보살에 대해서〈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는 바라문으로 설법할 중생에게는 바라 문으로, 비구가 되어 설법할 중생에계는 비구가 되어, 소년 • 소녀가 되어 설법할 중생에게는 소년 • 소녀가 되어 설법한다 고 했습니다. 이 말은 결국 관세음보살 이 온갖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뜻 입니다.

우리 민족의 중요한 역사적 보고인〈 삼국유사〉에서도 관세음보살님의. 다양한 변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관세음보살은 주로 수행자에게 그 모습을 보입니다,〈삼국유사〉의 관세 음보살은 여러 모습을 나투어 수행자의 수행 정도를 가늠하지요. 때로는 파랑새 의 모습으로, 때로는 냇가에서 더러운 옷을 빨래하는 아낙으로, 때로는 만삭의 몸을 한 여인네로, 또 때로는 수행에 방 해가 되는 팜므파탈의 이미지로 등장했 습니다.

〈관세음보살 보문품〉의 이론과〈삼국 유사〉의 실재를 종합해서 정리하면 관세 음은 아주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곁에 온다는 것입니다. 바로 내 이웃의 모습 으로 올 수도 있고, 나를 가장 괴롭히는 직장 동료의 모습으로 올 수도 있고, 자 식의 모습으로 올 수도 있는 것입니다. 다만 문제는 우리가 그들 속에서 관세음 보살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관세음보살을 거룩한 모습으로 기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 곁에서 관세음보살을 찾아야 한다는 것 이지요. 내게 가장 큰 고통을 주는 이가 관세음보살일 수도 있고, 가장 큰 행복 을 안겨주는 이가 관세음보살일 수도 있 습니다. 그런 면에서 난 이 영화〈킹콩 을 들다〉에 나오는 주인공에게서 관세음 보살을 발견했습니다.


d32e7b7cc77b53cbb53360baf739e4ec_1581839409_1063.jpg
 


〈킹콩을 들다〉는 올 여름에 나온 한국 영화입니다. 그런데 이 영하는 관세음보 살 영험담의 기본 골격을 차용하고 있습 니다. 관세음보살이 어려움에 처한 중생 앞에 나타나 그에게 도움을 줄 때 클라 이맥스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영험담의 기본 모티브를 이 영화에서도 발견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영화는 전남 보성의 시골 중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시골 중학교 역도부 소속의 6명의 소녀들과 코치입니 다. 여기서 소녀들은 고통에 빠진 중생 들이고 코치에게서는 소녀들에게 희망을 주는 관세음보살의 이미지를 찾아낼 수가 있습니다.

소녀들에게서 역도는 마지막 남은 희 망이었습니다.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 기라도 잡는 것처럼 지푸라기이기도 했 지요. 역기를 놓는다면 그녀들에게는 아 무 것도 남지 않을 만큼 마지막 남은 보 루였던 것입니다.

얼마큼 절박했냐면, 주인공 영자는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할머니 손에서 자 랐는데 그 할머니마저 돌아가시자 의탁 할 곳이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가장 뚱뚱하다는 이유로 뚱녀라는 별명 으로 불리던 현정이는 짝사랑하는 남자 친구에게 자기 존재감을 보여주고 싶었 고, 효녀 여순은 아픈 엄마를 위해서 역 도를 하려고 했습니다.

이렇게 역도를 할 수밖에 없는 이들에 게 실패한 역사인 이지봉 코치가 다가왔 습니다. 그는 어떤 사람이냐면 88올림픽 에서 동메달을 따면서 팔을 다치고 심장 병까지 얻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역기 를 들 수 없는 처지에 놓인 한마디로 실 패한 역사입니다. 물론 그의 마음도 이 상처로 많이 꼬여있습니다.

사실 역도 코치 개인의 모습으로 보면 역도 때문에 인생을 망쳤다고 생각한 그 에게서 전혀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찾아 볼 수가 없습니다. 자기 한 몸 자기 인 생도 제대로 못 추스르는 모습이거든요.

하지만 그는 스스로가 만든 감옥에서 벗 어날 길을 발견합니다. 연민이지요. 불교 적인 용어로 하면 자비입니다. 관세음보살의 다른 특징이 자비 라고 봤을 때 그에게 자비관 세음이라는 칭호를 갖다 붙여도 전혀 어색하지가 않습니다.

다른 애들이 모두 점심시간에 맛있는 점심을 먹으로 즐겁게 떠들고 있을 때 주린 배를 움켜 잡고 애들이 버린 우유 를 쓰레기장에서 찾아내 마시는 영자를 습니다. 이 마음이 생기면서 자신의 상 처로 갇혀있던 의식이 확장되는 것입니 다. 그래서 그는 자기 도시락을 영자와 나눠 먹고, 또 갈 곳 없는 영자의 처지 를 알게 되고는 역도부 창설에 대해 매 우 회의적이었던 태도를 바꿉니다. 영자 에게 역도가 유일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출구라는 인식을 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불쌍한 영자 돕기 프로젝 트의 일환으로 역도부에 음식을 만들어 먹일 수 있는 주방을 만들고 또 합숙훈 련소도 만듭니다. 마침내 그에게는 자기 자신의 문제에서 완전히 벗어나서 이 소 녀들을 역도선수로 성공시키는 데 온 마 음을 주게 됩니다. 그래서 소녀들을 위 해서 장을 봐와 영양가 좋은 음식을 해 먹이고 체계적인 훈련을 시키고, 또 '운 동선수는 무식하다'는 소리를 듣게 하지 않으려고 열심히 공부도 시킵니다.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아이들에게 매우 헌신 적입니다.

그는 분명 관세음보살이었습니다. 그 래서 그의 헌식적인 보살핌과 애정 덕분 에 영자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 표 선수가 됩니다. 그리고 뚱녀에서 똥 녀라는 좀 혐오스런 별명까지 얻으면서 학교 공식적인 왕따였던 현정이는 학교 킹카를 사귀게 됩니다. 이런 게 모두 이 지봉 코치의 헌신에서 비롯됐습니다.

관세음보살의 특징이 자비심과 중생 구원이라고 봤을 때 그를 관세음보살이 아니라고 할 이유가 전혀 없었습니다. 이 영화는 우리 곁에 온 관세음보살이라 고 제목을 갖다 붙여도 될 만큼 구원의 공식을 담고 있습니다.

사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 었습니다. 1988년 제 81회 전국체전에서 15개의 금메달 중 14개의 금메달과 한 개의 은메달을 따면서 파란을 일으켰던 순창여고와 또 순창여고 코치였던 정인 영 코치를 모델로 했다고 합니다. 그래 서 더욱 진정성이 느껴졌던 것 같습니 다

이렇게 우리 곁에는 늘 관세음보살이 있는 것는 것 같습니다. 삼국유사에서 수행 자에게 수행의 정도를 가늠하는 부처님 도 계시고〈킹콩을 들다〉에서 나오는 이 지봉 코치처럼 자신을 헌신해서 타인에 게 등불이 되는 부처님도 있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한 가지 깨달음을 얻었 습니다. 누군가의 고통에 진심으로 소통 하고 그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줄 수 있 다면 누구나 관세음보살이라고. 관세음 보살을 인간과 구별해서 먼 데서 찾지 말고 바로 내 옆에서 중생이 곧 부처고 부처가 곧 중생이라는 진리 속에서 찾게 한 영화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