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신문 아카이브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페이지 정보

호수 187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5-06-01 신문면수 10면 카테고리 문화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20-02-16 16:18 조회 4,823회

본문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南楊州奉先寺毘盧遮那三身掛佛圖)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길 32-0 (봉선사) 

시 대 : 조선시대


d32e7b7cc77b53cbb53360baf739e4ec_1581837518_6738.jpg
제1792호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 불도에 대한 설명입니다남양주 봉 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는 비로사나삼신불(毘盧舍那三身佛)과 권 속을 그린 괘불도로, 상부의 중앙 에 법신(法身) 비로자나불, 향우측 에 보신(報身). 노사나불, 향좌측에 화신(化身) 석가불, 하단 좌우로는 6구의 보살과 범천 및 제석천, 10대 제자, 하단 중앙에는 주악천인과 용 왕 용녀 등을 배치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삼신불과 권속 들을 함께 그렸지만 언뜻 보면 삼신 불 중심의 구도로 연상될 만큼 화면 상단의 삼신불을 큼직하게 배치하 였는데, 이러한 삼신불 중심의 구성 은 이 괘불도를 비롯하여 학림사 괘 불도(1774년 중수) 및 원통암 괘불 도(1806년) 등 18세기 중후반 경의 서울•경기지역의 삼신불 괘불도에 서 볼수 있다

특히 이 봉선사 괘불도에서 비로 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은 여래형으 로, 노사나불은 보관을 쓴 장엄형 으로 묘사한 것은 학림사 괘불도와 동일한데, 봉선사 괘불도에 도화원

(都書員)인 각총價總)에 이어 두 번째로 이름이 올라있는 칠혜(七 惠)가 18세기 전반에 학림사 괘불 도를 조성하였으며, 1774년 학림사 괘불도의 중수화원인 처징(處澄)。| 1758년에 각총과 함께 신륵사 삼장 보살도(1758년)를 제작했던 것에서 두 작품 간의 도상적 유사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이 괘불도는 1735년 상궁 이성애 (李性愛)가 숙종의 후궁인 영빈 김 씨(1669~1735년)의 명복을 빌며 제 작한 것이다

맑은 담채의 황색과 청색, 양록 색, 녹색, 하늘색 등 밝고 화사한 색 이 굵고 대담하면서도 능숙한 묵선 으로 묘사된 인물들의 움직임과 옷 자락의 자연스러운 주름표현, 힘찬 동세 등과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잘 조화를. 이루고 있어 왕실발원 불화 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자료제공=문화재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