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인생의 헛된 삼과 참된 길

페이지 정보

호수 80호 발행인 우승 발간일 2006-07-01 신문면수 5면 카테고리 이달의 설법문안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미디어커넷 입력일시 18-05-31 07:11 조회 2,171회

본문

인생의 헛된 삼과 참된 길

우리 인간이란 본래 어디에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지? 또 무엇 때문에 사는 것이며 그저 막연히 생겨났으나 살 때 까지는 죽지 못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 고달픈 삶에 쫓기다 보면 이런 문제들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각박한 현실생 활이 아닐까? 그러나 우리는 이런 문제들을 생각하기 이전에 벌써 살고 있는 것이며 그러하기 때문에 여기서 나는 잘사는 문제를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농사짓는 사람이나, 장사하는 사람이나, 고기 잡는 사람이나, 공장 직공, 정치인, 학자, 종교인 심지어는 석가, 공자, 예수 에게 물어볼지라도 잘 살려는 마음, 즉 이 한 생각만은 똑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사는 것을 잘 산다고 할 수 있는가? 인간이면 누구나 잘 살려는 이 한마음을 가졌을 진대 잘 살 수 있는 어떤 법칙이 필요할 것은 틀림없는 사실일 것입니다. 그런데 잘사는 법을 말하기 전에 먼저 어떤 것을 잘 사는 것이라고 하는가? 를 우리 인간들 모두에게 물어보고 싶습니다.

세계의 경제를 한 손에 넣고 주무르는 재벌 이나,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제왕이 되거나 또 사자후의 웅변을 토하며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을 서늘하게 만들고 천하의 독자를 붓 하나로 놀라게 하는 큰 문호가 된다면 이것을 일러 잘사는 것이라고 할 것인가?

부귀와 명예를 헌신짝같이 던져버리고 뜬 구름 흐르는 물로 살림을 삼아 천상천하 유아 독존인양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을 일러 잘사는 사람이라 할 것인가? 아니다, 이 모두가 겉치레의 잘사는 방법이 될는지 는 몰라도 참된 의미에서 말하는 잘사는 방법 은 되지 못하리라. 그러면 어떤 것이 잘사는 것인가?

부족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구할 것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원망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성냄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공포와 불안이 없는 것이 잘 사는 것이요, 강제와 속박이 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해탈과 자유가 있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것 이 잘사는 것이요, 보다 위없는 것이 잘사는 것이요, 마음에 흡족한 것이 잘사는 것입니다.

인간의 일평생을 백 년이라 한다면 이 일평 생을 흔히들 살아간다고 합니다. 이 귀중한 한 평생을 무엇을 위해서 살아야 하고 또 누구를 위해서 살고 있단 말인가? 우리는 흔히 이런 문제들을 전혀 생각하지 못한 사이에 머리엔 흰 머리카락이 얹어있고 얼굴엔 주름살이 잡 히는 수가 있습니다.

만일 인간들이 이런 이유를 모르고 그저 먹고 자고 성생활만을 지탱해나간다면 이는 저금수들의 생활과 다른 것이 무엇인가? 사람들은 흔히들 살아간다고 합니다. 그러나 살아간다는 말은 아무런 내용이 없는 말입니다.

가령 인간이 백 년의 삶의 권리를 가지고 와서 하루 살았다는 말은 하루 죽었다는 말이 외에 또 무슨 다른 뜻이 있다는 말인가? 그러니까 일 년을 살았다는 말은 곧 일년을 죽였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살아간다는 말은 죽어간다는 말이 옳은 것입니다. 우리가 농사 짓고, 장사하고, 정치하고 경제하고, 종교를 믿 는다는 것은 죽지 않으려는 것인데 그래도 죽어야만 하는 것이 우리 인생이 아닌가?

이는 참으로 비참한 사실입니다. 또 권력, 재력 그 무엇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인간의 일생을 따지고 보면 죽음이라고 하는 큰 구렁이한테 뒷다리를 물려 들어가는 개구 리의 운명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그런 인간들 이 살려고 발버둥치는 것을 볼 때는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 구렁이한테 물린 개구리는 구렁이 뱃속에 완전히 들어가기까지엔 오직 구렁이 자신이 결정할 것이지 개구리에 겐 아무런 자유도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인간의 죽음도 인간의 자 유의사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습니다. 천하의 영웅과 만고의 호걸도 이 죽음 앞에선 아무런 반항도 못하고 그저 순종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런 현실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마치 남의 일처럼 새까맣게 잊고 살아가고 아니! 죽음이라는 구렁이 앞에 다가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 세계에서 잘난 사람, 못난 사람, 과학자, 종교가, 철학자등 일체 중생이 누구나 다 업보중생임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보는 견해도. 역시 업안으로 밖에는 보지를 못함이 또 사실입니다.

우리 일체중생이 이 업안을 해탈하여 진리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살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그런 진리의 눈을 만들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느냐?

심성수양 곧 어두운 마음을 밝게 함으로 견성하는 일입니다. 견성이란 자기성품의 자리, 일체만유의 본성자리가 곧 진리입니다. 이 진리인 본심자리를 맑고 청정히 가져 만사만리를 통찰할 줄 아는 지혜의 눈을 얻는 것입니다. 중생의 육안으로는 아니 보이나, 이상하고 묘하게도 성품은 각자가 모두 지니고 있으면서도 못보고 못 찾 는 것이 묘한 이치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여야 각자가 지니고 있는 성품을 보고 이 고해에서 헤어날 수 있는가? 범부중생은 탐내는 마음,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과 재물에 대한 욕심, 색에 대한 욕심, 음식에 대한 욕심, 오래 살고자 하는 욕심, 명예에 대한 욕심 등 다섯 가지 즐거움을 누려보 고자 하는 병에 걸린 환자들입니다.

그러니 이 탐, 진, 치 삼독과 오욕병을 고치지 아니하고는 자기 성품을 볼 수 없습니다. 먼저 삼독과 오욕락을 버리고 육바라밀을 행해 나가야 합니다. 그러므로 해서 죽음에 직면해 있는 우리 일체중생이 불안과 공포에서 벗 어나서 영원한 절대 자유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현실세계를 사바세계라 합니다.

모든 생명들이 살아감에 서로 빼앗고, 서로 죽이고, 잡아먹고, 약육강식하는 하나의 수라장이라 함이 무리가 아닌 것이니 이 현실세상은 과거 무량겁을 내려오며 서로 가지고 놓은 죄악의 업력으로 만들어진 인과응보의 보복의 결산장이라, 서로가 지은바 업력과 업 보로 괴로운 재난이 눈앞에 전개됨은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인과응보의 법칙이라는 것을 깊이 깨달아 자기 성품을 바로 보아야 할 것 입니다. 성품을 보라함은 나의 실체, 존재성을 알라함이요, 나의 실체를 알라함은 나의 영원의 삶을 터득함입니다. 우리 인간이 이것 이외에 또 무슨 일이 있단 말인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