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자치샘의 참외와 보조국사

페이지 정보

호수 87호 발행인 우승 발간일 2007-02-01 신문면수 6면 카테고리 -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미디어커넷 입력일시 18-06-05 07:59 조회 2,564회

본문

연재글: 불교설화 (7회)

자치샘의 참외와 보조국사

60a25f187e9b20bb8b14bd6ba9b2cf80_1528153136_0329.jpg

아무리 더운 여름날에도 땀을 식힐 정도로 시원한 샘물이 전라도 화순 고을에 있었다. 이름하여「자치샘」.

이 고을 사람들은 역경에 처하거나 불행을 만나면 으레 샘물을 정화수로 떠놓고 신령님께 소원을 빌었다.

고려 말엽 이 고을에 조씨 성을 가진 한 상민이 살고 있었다. 그는 어느 날 양반의 말에 대꾸했다는 죄목으로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에게는 품행이 조신하면서도 미모가 특출한 분이라는 외동딸이 있었다. 아직 출가 전인 그녀의 효심은 지극했다. 분이는 아버지가 옥에 갇히자 날마다 첫새벽이면 이 자치샘 의 정화수를 길어다 신령님께 아버지의 석방을 축수했다.

그러던 어느 날. 새벽의 어둠 속을 더듬으며 샘터에 다다라 보니 웬 중년 부인이 자기보다 먼저 와 있는 것이 아닌 가. 분이는 내심 아버지를 향한 자신의 정성이 부족한 듯싶 은 자책감에 내일은 더 일찍 오리라 다짐했다.

다음날 새벽. 분이는 어제보다 더 일찍 집을 나섰다. 캄캄 한 산길을 무서운 줄도 모르고 걸음을 재촉해 자치샘에 당도하니 뜻밖의 일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다. 보기에도 먹음직스런 큰 참외 한 개가 둥둥 샘물 위에 떠 있는게 아닌가.

『으응? 웬 참외일까? 간밤에 누가 따다 넣은 건가, 아니면 나보다 먼저 누가 다녀갔나?』

분이는 이 참외를 어떻게 할까 망 설이고 있는데 어디선가 새벽 공기를 울리며 이상한 목소리가 울려왔다.

『소녀여, 참외를 먹어라. 그 참외는 너 먹으라고 놓아둔 것 이니 주저치 말고 어서 건져 먹어라.』

분이는 깜짝 놀라 말소리가 들리는 곳을 돌아 보았으나 아무도 보이질 않았다.

『필경 산신령의 계시인가 보구나. 왜 먹으라고 했을까. 아무튼 먹으라고 하시니 먹어야지.』

분이는 조심스럽게 참외를 건져 먹고는 여느 날처럼 물을 길어 가지고 돌아왔다.

그런데 이게 어찌 된 영문인가. 분이는 그날부터 태기가 '있더니 배가 불러오는 것이 아닌가. 처녀가 아기를 잉태하다니. 실로 기막힐 노릇이었다. 분이는 아닌 밤중에 흥두깨 격 으로 생죄인이 되고 말았다.

달이 차자 분이는 옥동자를 순산했다. 그녀는 견딜 수 없는 수치감 때문에 아이를 기를 수 없다고 생각하여 솜보자 기에 아이를 싸서 지금의 학다리 마을 근처 논두렁에 버렸다.

다음날 저녁, 이곳을 지나가던 한 길손이 이상한 광경을 목격하고 걸음을 멈췄다. 커다란 학 한 마리가 이상한 물건 을 품고 있는 것이 아닌가. 기이하게 생각한 길손은 학이 있는 곳으로 가 보았다.

사람 기척이 나자 학은 날아가고 그 자리엔 갓난아기가 솜에 싸여 있었다.

『아니 이건 어린아기가 아닌가? 못된 것들, 천벌을 받을 줄모르고.』

길손은 아기를 안고 관가로 갔다. 그는 원님 앞에 나아가 자초지종을 아뢰었다.

『소인이 먼 길을 다녀오다 논두렁가에서 이 갓난아기를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이 옥동자를 학이 품고 있었던 것입니다. 소인이 가까이 다가가자 학은 날아가고 제가 이 아기를 데려오게 된 것입니다.』

『허어! 학이 품고 있었다고. 필시 이 아이가 자라면 장차 비범한 인물이 될 징조로구나. 이방은 이 아기의 어미를 찾아 데려오도록 해라.』

마침 슬하에 손이 없던 길손은 이 아기가 장차 크게 될 인물이라는 원님의 말에 자기가 기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원님께 간청했다.

『소인이 자식이 없어 적적하오니 이 아기를 기르도록 허락 해 주시옵소서.』

『음 그렇다면 분부 있을 때까지 우선 데려다 기르도록 해라.』

길손은 어린아이를 안고 돌아갔고, 이방은 아기 어머니를 찾아나섰다.

이방은 아기 어머니 분이를 쉽게 찾아 관가로 데려왔다. 분이는 원님 앞에 대령하여 국문을 받기 시작했다.

『처녀의 몸으로 아기를 낳은 죄, 벌 하여 주옵소서.』

분이는 원님의 분부를 기다리며 머리를 조아렸다.

『아기를 낳게 된 연유를 소상히 아뢰어라.』

원님은 아기가 비범치 않다고 생각해서인지 관대한 어투로 물었다.

『아뢰옵기 황송하오나 소녀의 아버님은 양반에게 말대답을 했다는 죄로 한산리 감옥에서 옥고를 치르고 계십니다. 그래서 아버님의 방면을 축수하느라 새벽마다 자치샘으로 정화수를 길러 다녔는데 어느 날 샘물 위에 떠 있는 참외를 신령님 분부로 먹었습니다. 그날 이후 배가 부르기 시작하여 아기를 낳게 됐습니다.』

『음,예사로운 일이 아니로구나.』

『원님, 간청하옵나니 죄 없으신 저의 아버님을 너그러운 마음으로 방면하여 주십시오.』

『음, 네 효심이 정녕 갸륵하구나. 알겠으니 염려하지 말아라.』

딸의 효성으로 조씨는 옥살이를 벗어났다. 이 소문이 고을에 퍼지자 마을 사람들도 분이의 효심을 산신령이 가상히 여긴 것이라며, 학이 아기를 품고 있던 곳을 학다리 마을이라 불렀다.

한편 그 옥동자는 길손의 집에 가서 잘 성장했다. 어려서 부터 성품이 온순하고 총명하여 남의 이목을 끌더니 성장해서는 출가하여 스님이 됐다. 그 스님이 바로 송광사 16국사 중의 초대국사인 불일 보조국사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