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페이지 정보

호수 163호 발행인 법등[구창회] 발간일 2013-06-01 신문면수 10면 카테고리 문화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5-31 10:42 조회 1,936회

본문

유물로 보는 비로자나불

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시 대: 통일신라 

재 질: 철조

소장기관: 전남 장흥 보림사


42a2299294b0a490cea24a7c18171b78_1527730930_1558.jpg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와 광배를 잃고 불신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에서 약간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다소 추상화된 모습이다.

통일신라 전성기(8세기)의 불상에 비해 긴장감과 탄력성이 줄어들었고, 이런 형태의 표현은 신라 불상에서 보여주던 이상적인 조형감각이 후퇴하고 도식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9세기 후반 불상 양식의 대표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수인은 지권인의 모습으로 일반적인 손모양이다. 이 작품은 만든 연대가 확실하여 당시 유사한 비로자나불상의 계보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신라말부터 고려초에 걸쳐 유행한 철로 만든 불상의 첫번째 예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자료제공 = 문화재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