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금강계만다라의 항삼세회(降三世會)

페이지 정보

호수 202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6-09-01 신문면수 8면 카테고리 밀교연재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법경 필자소속 -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밀교연구소장 / 법천사 주교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4 09:47 조회 2,554회

본문

연재글: 깨달음의 세계 / 불보살의 도량, 법경정사의 만다라 이야기 (31회)

금강계만다라의 항삼세회(降三世會)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937193_8746.jpg
 


항삼세회(降三世羯磨會)는 그림1)과 같이 금강계 구회만다라 (九會曼茶羅) 중에서 오른쪽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지난 호에서 살펴 보았던 이취회(理趣會一)의 아래쪽에 해당한다. 항삼세회 는 그림2)에서 보듯이 성신회나 기타 회(會)와 마찬가지로 37존 형식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취회(理趣會)와 그 이전의 만다라(曼茶 羅)가 ‘자비’와 ‘지혜’를 바탕으로 일체중생을 제도하고 있다면, 이번 호에서 살펴 볼 항삼세만다라에서는 ‘분노(忿怒)’로써 중 생들을 제도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라 할 수 있다. 제존(諸尊)이 분노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유는 교화하기 어 려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것이며, 그 방편으로써 무서운 형상 을 하고 있는 것이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937209_2771.jpg
그림1) 금강계만다라의 항삼세회 (흰색 네모)


그러나 그 분노는 자비를 바탕으로 한 분 노이며, 중생들의 하급적(下級的)인 분노와는 차원이 다르다. 즉 분노의 내면에는 따뜻한 자비심이 담겨 있고, 분노의 활동은 어 디까지나 중생의 번뇌를 깨뜨리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항삼세(降三世)라는 말은 삼세(三世)를 항복시킨다는 뜻으로, 자비와 지혜를 일으켜 깨달음에 이르게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 먼저 번뇌를 없애야 하는 데, 이를 항삼세(降三世)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항삼세만다라(降三世曼茶羅)는 번뇌의 주체인 중생이 미혹과 번뇌를 떨쳐 버리고 법신 대일여래의 세계로 들 어간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항삼세의 삼세(三世)는 과거·현재·미래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탐·진·치(貪瞋痴) 삼독심(三毒心)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를 없 애는 것을 항삼세(降三世)라 하고 있다. 즉 과거·현재·미래의 번 뇌 뿐만 아니라 탐·진·치(貪瞋痴) 삼독심(三毒心)을 없애는 것을 항삼세라 한다. 

삼독심을 없앰으로써 번뇌망상과 고(苦)가 여의게 되고, 이로 써 자비와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이루게 된다는 것을 상징적으 로 나타낸 말이다. 전식득지(轉識得智)의 의궤화(儀軌化), 도상 화(圖像化)한 것이 항삼세만다라이다. 항삼세라는 명칭은 금강살타가 분노하는 항삼세명왕의 형상 으로 대치되어 등장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기존의 만다라 에서는 금강살타가 등장하지만 항삼세만다라는 항삼세명왕이 대치되어 등장한다는 점이 이 만다라의 특징이다. 즉 비로자나불의 제1보살인 금강살타가 평범한 방법과 수단 으로는 포악한 중생을 교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서운 분노존 (忿怒尊)의 항삼세명왕으로 대치되어 중생을 제도하고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분노존의 항삼세명왕은 그림3)과 같이 팔짱을 끼 고 있다. 팔짱을 교차한 모습은 분노형(忿怒形)의 기본적인 형 상이다. 항삼세만다라(降三世曼茶羅)라는 명칭이 붙게 된 또다른 이 유는『秘藏記』의 명칭을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937229_3278.jpg
그림2) 항삼세회의 구조


원래『금강정 경』에는 이 만다라를 삼계최승대만다라(三界最勝大曼茶羅)라 하였지만,『秘藏記』에서는 이를 항삼세만다라(降三世曼茶羅) 라 하였는데, 이 명칭에 따라 현도만다라(現圖曼茶羅)에서는 항 삼세만다라(降三世曼茶羅)라 이름을 붙였다. 『금강정경』에서 삼계최승대만다라(三界最勝大曼茶羅)는 삼 계(三界)에서 가장 뛰어난 대만다라(大曼茶羅)라는 뜻이며, 대만 다라는 비로자나불을 위시하여 일체제존(一切諸尊)이 등장하 므로, 대(大)자를 붙여 대만다라(大曼茶羅)라 한 것이다. 또한 불보살 등 제존(諸尊)을 불상(佛像)과 같이 형상(形像)으 로 나타내었기 때문에 대만다라( 大曼茶羅)라고도 한다. 

삼계(三界)는 흔히 욕계·색계·무색계를 말하는데, 이 삼계(三 界)의 주재자(主宰者)인 대자재천(大自在天)을 항복시키고 있으 므로 항삼세(降三世)라고 하고, 또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삼세 (三世)와 마찬가지로 탐·진·치 삼독심을 없앤다는 의미로서 항 삼세(降三世)라고도 한다. 삼세(三世)와 삼계(三界)는 탐진치의 삼독심을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같은 말로 쓰이고 있다. 항삼세명왕이 항복시키고자 하는 대상은 삼계(三界)의 주재 자인 대자재천(大自在天)과 그의 비(妃)인 오마(烏摩)이다. 항복 시키기 위해서 항삼세명왕은 손발로 이들을 짓밟는 형상을 하 고 있는데, 대자재천(大自在天)은 두 손으로, 오마(烏摩)는 오른 발로 짓밟고 있다. 『금강정경』에 따르면, 대자재천(大自在天)을 위시한 여러 신 들이 모두 포악하여 좀처럼 불법(佛法)을 따르지 않았다고 한 다. 그래서 금강살타가 항삼세명왕의 분노하는 모습으로 신들 을 상대하였는데, 그 가운데 특히 대자재천은 스스로 삼계(三 界)의 주재신(主宰神)이라 여기며 항삼세명왕에 굴복하지 않았 다. 그래서 항삼세명왕은 분노상(忿怒相)을 하고 ‘훔(吽)’이라는 조복(調伏)의 진언을 외웠는데 다른 신들은 땅에 쓰러지며 항삼 세명왕에게 조복되었지만, 대자재천은 고통 속에 빠져 있기만 하고 조복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대자재천은 비로자나불에게 자신을 구원해달라고 요청하였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937247_7128.jpg
그림3) 항삼세명왕의 존상


그러나 비로자나불은 진정 으로 대자재천을 구하기 위해서는 분노존에 의지하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항삼세명왕에게 대자재천의 구원을 맡겼다. 그래서 항삼세명왕은 더욱 분노의 형상을 하고서 진언을 외웠 는데, 그때 대자재천과 그의 비(妃) 오마(烏摩)가 땅에 쓰러지게 되었고, 이에 항삼세명왕이 이들을 짓밟고 있었다고 한다. 이것 을 본 비로자나불께서 대자비(大慈悲)의 진언을 외우자 대자재 천은 그제서야 불도(佛道)에 들게 되었고 해탈의 안락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금강살타가 분노형(忿怒形)의 항삼세명왕으로 대 치되는 내용은『금강정경』에 나오는데, 비로자나불께서 일체 여래(一切如來)의 대분노금강삼매(大忿怒金剛三昧)에 들어 슌 바와 니슌바 형제의 진언을 외우자 금강살타와 일체여래가 모 두 분노(忿怒)의 형상(形相)으로 나투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항삼세만다라의 37존은 모두 팔짱을 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슌바와 니슌바는 원래 인도의 설화에 나오는 인물 로서 대자재천의 왕비에게 살해되었는데, 밀교에서는 이를 수 용하면서 반대로 역전(逆轉)시켜 등장시키고 있다. 즉 두 형제 의 진언을 외움으로써 대자재천과 그의 비(妃)를 조복시키는 것 으로 묘사되고 있는 바, 이들의 관계를 뒤집어 놓고 있는 것이 다. 이는 살해된 두 형제를『금강정경』에 다시 증장시킴으로 써 당시 지배적이었던 힌두교에 대한 불교의 심리를 역으로 분 출시킨 것이라고 보고 있다. 즉 대승후기와 초기밀교에서 힌두교의 신들을 채용하면서 힌두교에서 상대적으로 수세에 놓여 있던 신들을 오히려 반대 의 입장에 배치해놓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분히 밀교의 의도 적인 구상으로 보고 있다. 어쨌거나 대자재천을 최종적으로 완전히 조복시킨 것은 비 로자나불이지만, 그렇다고해서 항삼세명왕의 노력과 역할은 무시할 수 없다. 버릇없는 무명중생을 비로자나불께서 차마 후 려칠 수가 없어서 다른 분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을 뿐이다. 

중생제도라는 대의(大義)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설사 원수나 포악한 악인(惡人)이라 할지라도 어찌 비로자나불께서 이를 내 팽개칠 수 있겠는가. 오히려 대자비(大慈悲)로써 거두어 주시는 분이 법신 비로자나부처님이시다. 그러한 비로자나불께서는 때에 따라 아축불로 대신 나투시 기도 하고, 또 아축불을 대신해서 금강살타로 등장하고, 마지막 에는 금강살타 대신으로 항삼세명왕이 되어 나서는 것이다. 이 가운데 일체중생을 상대하여 몸으로 직접 부딪치고 있는 분은 역시 항삼세명왕이다. 이 항삼세명왕을 중생의 분별된 눈으로 본다면, 무섭다고 여 길지 모르겠지만 오히려 궂은 일을 하며 악역(惡役)을 자처하고 있는 분이므로 한없이 고마운 분이라 여겨야 할 것이다. 

그래 서 실제로 일본에서는 명왕을 주존(主尊)으로 삼아 숭배하는 경 우가 아주 많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과연 항삼세명왕과 같은 분이 몇이나 될까? 분노와 꾸지람 속에도 한없이 따뜻하고 자 비로운 모습을 하고 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 나 인격이 고매하여 화를 내어도 전혀 화를 내는 것이 아니어서 반발심이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존경심이 절로 나오게 하는 그 런 분이 많았으면 좋겠다. 


<다음호에서는 마지막으로 항삼세삼매야회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