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대승장엄보왕경 『관음의 기원』

페이지 정보

호수 212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7-07-01 신문면수 5면 카테고리 종합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원당 필자소속 - 필자호칭 정사 필자정보 원당 정사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14 16:39 조회 2,143회

본문

연재글: 밀교경전 읽기 (4회)

대승장엄보왕경 『관음의 기원』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961963_535.jpg
 


2) 경전상의 기원 


인도에서 관음신앙이 일어나게 된 것 은 대승불교 운동의 초기인 기원후 1-2 세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경율론 삼 장 가운데 부분적으로 관세음보살에 관 해 언급한 것까지 포함하여, 법화경계로 서 7본이 있으며, 밀교부에 속하는 것으 로는 오십여종, 반야부에 이종, 유가부에 일종 등 80여종이나 될 정도로 관세음보 살에 관하여 언급이 없는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초기 관음신앙의 성립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경전은 관음신앙의 기본경전 이라고 할 수 있는『묘법연화경』「관 세음보살보문품」이다. 이러한 관음신 앙은 기원후 1세기 경 조성된 것으로 추 정되는 인도 간다라(Gandhāra) 지방에서 발견된 관음보살상과 함께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을 중심으 로 기원후 1세기경 부터 전개되어 왔다 고 보고 있다. 또한 기원후 1세기 경에 성립된 것으 로 알려진 『화엄경』「입법계품」에서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의 안내로 53선지 식을 만나면서 28번째로 남천축국의 보 타락카(Potalaka)山에서 관자재보살을 친견하는 내용에서 선재동자가 묻는 보 살행과 보살도에 대하여 관음은 일체 중 생이 18종의 공포를 벗어나도록 하는 서 원을 세워 대비법문광명행을 성취하였 다고 하는 내용에서도 관음신앙의 근거 를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수능엄경』「이십오원통 장」에서 관세음보살이 자신이 삼매에 들게 된 연유를 설명하는 내용에서 이근 원통이 가장 수승하면서 말세 중생들이 수행하기에 쉬운 방편이라고 찬탄하는 내용에서 관음보살이 등장하고 있는 것 을 살펴볼 수 있다. 




3) 힌두교의 영향 


관음신앙의 또 다른 기원은 힌두교에 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본래 불교에서 대승보살 신앙의 출현은 힌두이즘(Hinduism)의 발흥과 상호 관 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관자재보살의 산스크 리트 어원 Avalokiteśvara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Īś vara는 자재신 즉 힌두교 의 절대신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브라 만 사상에서 우주의 원리인 브라흐만 (Brahman)이 우파니사드(Upaniṣad)시 대에 와서 인격적인 모습으로 표현되면 서 나타났다. 따라서 힌두교의 인격신 Īś vara의 절 대자의 개념을 관자재보살의 명칭에 수 용하여 관음신앙을 전개 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힌두교에서 비슈누(Vīṣṇ u)신과 시바 (Śiva)신은 가장 대중적인 신앙의 대상 이다. 비슈누(Vīṣṇ u)신이 대중적 신앙의 대상이 된 것은 『기따』에 반영되고 부 터이다. 『기따』는 인도의 서북부 지방에서 바 수데바(vāsudeva)라는 신을 지존으로 신 봉하던 바가바따(bhāgavata)파에 의하여 만들어진 성전이다. 이 바가바따파들이 살던 지방에 끄리슈나(Kṛṣṇ u)라는 영웅 이 신격화되어 바수데바-끄리슈나신이 비슈누신과 동일시되었다. 그리하여 끄리슈나신은 비슈누신의 화신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하였고, 요 가-마야(yoga-māyā)에 의해 인간 세계에 화신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힌두교의 화신사상은 불교의 관음신앙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어 관음 보살의 응신사상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