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영혼이 있다고 믿나요?

페이지 정보

호수 112호 발행인 원송[서진업] 발간일 2009-03-08 신문면수 11면 카테고리 종단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미디어커넷 입력일시 18-06-21 07:37 조회 2,103회

본문

연재글: 영화에서 불교보기 (3회)

영혼이 있다고 믿나요?
식스센스

브루스 윌리스의 신비한 매력이 돋보이는 영화〈식스센스〉(미국, 1999)는 반전을 즐기는 게 관람 포인 트입니다. 이 영화만큼 정말 기가 막 히게 결과를 비튼 영화도 드물지요.

자신을 사람이라 믿었던 영혼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내용인데, 보는 사람도 영혼을 사람으로 착각 하게끔 감독은 트릭을 썼습니다. 그 래서 나중에 결과를 알게 됐을 때 주인공과 마찬가지로 많이 놀라게 되고 당황하게 되지요.

〈식스 센스〉에서 브루스 윌리스가 연기한 말콤 박사는 아동심리학자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아이를 치 유하는 일을 합니다. 그가 맡은 애들 중 한 명은 영혼을 보는 애였습니다. 입증할 수 있는 현상만을 믿는 말콤 은 이 아이의 말을 믿을 수 없었고, 그래서 이 애를 정신분열증으로 분 류합니다.

정신병자가 된 이 아이는 나중에 자라서 말콤에게 총을 겨눕니다. 총 을 맞은 말콤이 화면에 잠깐 비춰지 고 다음해 가을로 시간이 흘러버립 니다.

여기서 보이는 감독의 트릭은 참 신선했습니다. 눈 밝은 사람이라면

금방 알아챌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속아넘어가겠지요. 이제부터 나타 나는 말콤은 영혼이었던 것입니다. 허나 여전히 그는 자신이 살던 집에 살고 그전에 했던 일을 하고 있기에 보는 사람 누구도 의심을 할 수 없 습니다.

물론 영화가 진행되는 곳곳에서 의심할만한 상황이 있지만 이전과 너무나 똑같은 삶의 모습이기에 말 콤 자신이 자기가 영혼인 걸 모르는 것처럼 관객도 전혀 의심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 영화는 영혼을 위한 영혼에 의 한 영혼의 영화입니다. 물론 이전에 도 영혼이 등장하는 영화들은 꽤 있 었고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호러영화에 나오는 것도 영 혼이지요.

허나 이들 영화가 이야기를 재미 있게 풀어가기 위해 영혼이라는 매 력적인 소재를 이용했다면〈식스센 스〉하고는 차별됩니다.〈식스센스〉는 영혼을 위한 변명이라는 제목이 더 어울릴 정도로 영혼은 실재한다는 걸 입증하기 위해 만든 영화입니다.

이 영화를 만든 이. 나이트 샤말란 감독은 고스트에 대한 확신에 차서 이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처 음부터 끝까지 시종일관 그의 태도 는 영혼이 분명 존재한다는 걸 확인 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감독이 주장하는 것처럼 정말 영혼은 있을까요? 저도 이게 늘 궁금했습니다.. 그렇다면 불교에서 는 영혼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할까

예전의 말콤이 그랬던 것처럼 귀 신을 망상이라고 볼까요, 아니면 영 혼이 된 말콤처럼 귀신 세계를 인정 하는 쪽일까요?

물론 불교계 내 에서도 의견이 엇 갈립니다. 귀신의 존재를 느인정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에 귀신을 완강하 게 부정하는 목소 리도 있습니다. 그 래서 저는 한국.불 교사에서 가장 위 대한 고승으로 추 앙받는 원효스님의 견해를 일반적인 불교의 입장으로 하고자 합니다.

원효스님과 관련 한 유명한 일화인 해골에 담긴 물 마 시기 이야기와 .유 사한 이야기입니 다. 아마도 한 이. 야기가 다르게 변형 유통된 것 같습 니다.

어느 때 원효스님은 의상스님과 함께-당나라도 유학가기 위해 길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가다보니 날은 어두워지고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몸을 피할 곳을 찾 다가 꽤 아늑한 곳을 발견하고 들어 가 그날 밤을 거기서 잘 보냈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에 보니까 그 '곳은 시체의 뼈가 굴러다니는 오래 된 봉분 속이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날도 비가 마구 쏟아지고 천둥 번개 도 치고 해서 도저히 길을 떠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없이 또 그곳에서 밤을 보내야 했 '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밤은' 전날 밤과 달 리 잠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밤새 귀신들이 나타나 원효를 놀라게 하고 괴롭혔습니다. 그렇게 괴롭힘을 당하다가 원효스님은 아침을 맞았습 니다.

그리고 다음날 스님은 무덤 속을 나오다가 한 소식 얻었습니다. 그래 서 밖으로 뛰쳐나가 소리쳤습니다. ‘일체유심조’ 라고.

무덤 속이라는 걸 모르고 잔 날은 달게 잘 잤는데, 무덤이라는 걸 알게 되자 갑자기 귀신이 나타난 것은, 바 로 우리 마음이 귀신을 만들어냈다 는 뜻이지요. 귀신이라는 게 원래 있 는 게 아니라 마음의 조화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는 걸 알게 된 것입니 다.

원효스님의 깨달음을 정리해서 보 면, 귀신이란 원래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 마음속에 귀신과 관련한 생각 이나 두려움, 불안 이런 게 조금이라 도 있으면 그게 싹을 틔우고 귀신이 라는 세계를 창조해낸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불교에서는 이. 나이트'샤 말란 감독의 확신에 찬 목소리에 동 조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식스센스〉를 만든 샤말란 감독은 귀신이라는 고유한 영역이 있다고 봤습니다. 우리와 분별되는 세계지 요. 우리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분 명 존재한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지 구가 둥글다고 하는 진리를 사실로 받아들여야 하고, 하늘에 떠있는 달 을 탐사함으로써 실재함을 입증한 것처럼 영화를 통해 “봐 이러니까 사실이지”, 하는 어조로 증거를 나열 하면서 실재함을 입증하려고 애썼습 니다.

반면에 불교는 마음에서 만들어낸 허망한 세계라는 입장이지요. 정신병 자가 체험하는 세계가 우리 눈에는 안 보이지만 그들에게는 분명 보이 니까 실재한다고 생각하게 되지요. 그러나 다른 사람 눈에는 안 보이는 혼자만 경험하는 세계입니다. 그래서 망상이라고 부릅니다. 귀신 세계 또 한 이것과 같다는 게 불교의 입장입 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