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규제와 편견의 한계를 넘어 선 여성들

페이지 정보

호수 139호 발행인 지성[이기식] 발간일 2011-06-01 신문면수 6면 카테고리 인물 / 설화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박묘정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07 13:20 조회 1,661회

본문

규제와 편견의 한계를 넘어 선 여성들
진혜 대사

진해대사가 살았던 고려는 불교국가 였다. 따라서 승려들은 사회적인 지위 가 높았다. 과거 시험에 승과 제도가 있어서 승려도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들은 관직에 나갈 수 없었 고 마음대로 승려가 될 수 없었다. 주로 정절을 지키기 위해서 또는 생 계 유지를 위해서 승려(비구니)가 되 었다. 

남편을 잃은 서민 여성들이 재혼 이 어려워 선택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시대에는 불교 자체가 대체로 여 성들은 도를 깨우치고 성불을 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라는 부정적인 생 각을 가지고 있던 시기였다. 이런 어려운 시기에 당당히‘대사’ 칭호를 받은 여성이 있었다. 대사는 승과에 합격한 남성들에게 내리는‘대 덕’보다 더 높은 지위에 오른 것이 다. 

진혜 대사는 명문 양천 허씨 가문의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수상을 지 낸 허공이었고 어머니는 윤관의 후손 이었다. 그 시대 제일의 귀족 가문에 서 태어나 성품이 정숙하고 신의가 있 으며 아름답고 조신했다고 한다. 14살 때 언양 김씨 가문의 김 변과 결혼했다. 김 변과 진혜 대사 사이에 는 아들 4명과 딸 3명이 있었다. 그는 다른 여인들과 같이 혼인 해서 남편을 섬기고 음식이나 길쌈에 힘쓰면서 아 내의 도리를 다 했다. 어머니가 되어 서는 자식을 훌륭히 키웠다. 진혜 대사의 제2의 인생은 남편이 죽은 후부터 시작 되었다. 


02772180a6d25ec8d69d29e244790bc4_1528345220_8009.jpg 

진혜대사가 수행했던 양산 통도사. 신라제 27대 선덕여왕 15년(646) 자장율사스님에

의하여 창건되었으며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충렬 왕 27년 남편이 죽자 나라에서 베풀어 주는 의식을 모두 사양하고 스 스로 장례도구를 마련하여 대덕산 남 쪽에 묘지를 만들어 장례를 지냈다. 장례가 끝나고 가까운 곳에 집을 짓고 그 근처에‘감응사’라는 절을 지어 남 편을 위해 불공을 드렸다. 이 때 진혜 대사의 나이는 47세였다. 집안의 재화 와 보물을 털어 금과 은 글씨로 사경 을 하고 이 이외에도 많은 불사를 일 으켰다. 이때부터 진혜 대사는 고려의 귀족 여인들과는 다른 삶을 살았다. 충렬 왕 28년 중국에서‘무선사’라 는 사람이 왔다. 

진혜 대사는 그를 만 나고 그의 불사에 참석하여 법문을 들 었다. 충렬 왕 30년 ’철상화상’이 강 남에서 왔을 때는 그에게 대승 계를 받기도 했다. 그 후에도 미륵대원(미륵사지로 추 정)에 가서 석불에게 예를 올리고 여 러 산천을 순례 하면서 많은 유적지를 탐방했다. 그리고 드디어 충숙 왕 2년 (1315)에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 다. 비구니가 된 이후에도 그는 계속 성 지순례를 다녔다. 통도사에 가서 사리 도 얻었고 경주 계림으로 가서 마음껏 장관을 돌아보고 왔으며 이 밖에도 그 가 밟은 전국 사찰이 수도 없이 많았 다. 

고려 시대에는 남편이 허락하지 않 으면 비구니가 될 가능성은 거의 없었 다. 결혼 후 남편이 죽거나 자식들이 장성한 후 또는 임종 직전에 해야 했 다. 진혜 대사의 경우도 남편이 죽은 후 비구니가 되었지만 다른 여성 불교 신자와는 다른 아주 적극적인 신앙 활 동을 펼쳤다는 점에서 남달랐다고 할 수 있다. 다른 귀족 여성들이 불경을 읽거나 염불, 시주 등을 열심히 했다 면 진혜 대사는 전국 산천 곳곳을 다 니며 10여 년간 구도 여행을 했다. 

출가 동기 속에는 쉽게 집을 떠나 마음대로 원하는 장소에 가거나 만나 고 싶은 사람을 만나고 원하는 일을 할 수 있고 마음껏 세상을 직접 볼 수 있는 것이 포함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진혜 대사는 충숙왕 7년(1320)년 장 남의 집 근처인 개성 남산의 남쪽에 초당을 짓고 머물다가 4년 후 병이 들 어 향년 70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종 할 때에도 말이 어지럽지 않고 행동이 평소와 같았다고 한다. 담당 관리가 부음을 알리니 임금이 그 절의가 한결같음을 찬탄하고‘변한 국대부인 진혜 대사로 추봉 했다. 

이는 그의 사후에 주어진 시호이므 로 한계는 있지만 이것이 고려 500년 을 통해 비구니로 대사 호칭을 받은 유일한 사례다. 이는 그의 불교적 행 적은 기록으로 알아 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대사라는 호칭을 내려 줄 만큼 불교적 행적이 뛰어났다는 사실을 보 여 주고 있다. 그는 여성이어서 집을 떠나 마음대 로 구도 여행을 할 수 없었음에도 그 한계를 뛰어넘어 10여년 동안 마음껏 구도 여행을 했다. 비구니가 되기 힘들었던 한계를 넘 어 비구니가 되었고 그의 사후에는 고 려 500년 동안 아무도 해 내지 못했던 대사가 되었다. 

그는 여성에게 내려진 온갖 편견과 한계를 뛰어넘어 자기가 하고 싶은 일 을 해낸 진정한 선구자라고 생각된다. 

-박묘정- 


* ‘세상사는 이야기’가 ‘규제와 편견의 한계를 넘어 선 여성들’로 기사를 당분간 대신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