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불교의 도선사와 산신신앙의 원당 삼천사
페이지 정보
호수 160호 발행인 발간일 2013-03-05 신문면수 6면 카테고리 불교민족기행 서브카테고리 -페이지 정보
필자명 김종열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편집 정리 김종열 기자. 리라이터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6-01 10:44 조회 2,236회본문
서울의 진산
북한산은 우리 가까이 있는 가장 웅장하고 그 산세가 깊다. 예로부터 백두산, 지리산, 금강산, 묘향산과 함께 대한민국 오악에 포함되는 명산이다. 세 봉우리인 백운대(836.5m)- 인수봉(810.5m), 만경대(787.0m)가 큰 삼각형으로 놓여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삼각산 또는 삼봉산, 화산, 부아악 등으로도 불린다.
고려시대부터 삼각산이라고 하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북한산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서울의 진산으로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중생대 말기에 지층에 파고든 화강암이 지반의 상승과 침식작용으로 표면에 드러났다가 다시 풍화작용을 받아 험준한 바위산이 되었다.
무학대사가 서울올 내려다 본자리?
주봉인 백운대에 오르면 서울 시내와 근교가 한눈에 들어오고, 맑은 날에는 강화도-영종도 등 황해의 섬도 보인다. 인수봉은 암벽 등반 코스로 인기가 높다. 봉우리 북쪽에 튀어나온 바위가 마치 아이를 업은 모양 같다고 하여 부아악 이라고도 한다.
고구려 동명왕의 왕자인 온조와 비류가 남쪽으로 내려와 자리잡고 살 만한 땅을 고를 때 이 봉우리에 올라 서울의 지세를 살폈다는 기록이 있다. 백운대의 남쪽에 있는 만경대는 주변 경관이 좋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국망봉이라 불렸다.
무학이 나라의 도읍지를 정할 때 여기에 올라서 내려다보고 결정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외에도 노적봉(716m) - 영봉(604m) - 비봉(560m) - 문수봉(71601) - 보현봉(700m) 등 이름난 봉우리만도 40여 개나 된다.
조선시대 때 수도의 방어를 담당했던 북한산성, 비봉의 진흥왕 순수비 터를 비롯해 유명한 북한 이궁지, 진관사-문수암-태고사-원효암-상운사-도선사-승가사-화계사 등 많은 사찰과 문화유적이 산재한다. 서울 외곽에 있어 연중 등산객과 일반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1983년 도봉산과 함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악사상
동 . 서 . 남 . 북 및 중앙지역을 대표하는 백두산 - 금강산 - 묘향산-지리산-삼각산을 일컫는다. 오악의 개념은 중국의 오행사상에서 비롯 되었으며, 오악에는 나라의 수호신이 거처한다고 믿어 민족의 성산으로 여겨 왔다. 신라 때에는 토함산-계룡산-지리산-태백산과 부악(지금의 팔공산)을 오악으로 삼아 제사를 지냈고, 고려 때에는 덕적산-백악-목멱산(지금의 남산)의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특히 백두산은 일찍부터 한민족의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종주산으로서 조선 영조 때 망덕산에 백두산단을 만들어 망제을 지낸 일이 있다.
국가기도도량 도선사
신라 경문왕 2년 862년 도선 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도선은 이곳의 산세가 1,000년 뒤의 말법시대에 불법을 다시 일으킬 곳이라고 예견하고 절을 창건한 뒤, 큰 암석을 손으로 갈라서 마애관음보살상을 조각하였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그 뒤 조선 후기까지의 중건-중수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북한산성을 쌓을 때는 승병들이 이 절에서 방번 (보초 임무)을 서기도 하였다.
1863년(철종 14) 김좌근의 시주로 중수하고 칠성각을 신축하였으며, 1887년(고종 24)에는 임준이 오층탑을 건립하고, 그 속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를 봉안하였다.
1903년 혜명이 고종의 명을 받아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며, 1904년 국가기원도량으로 지정받았다.1976년 도선사의 중흥주인 청담스님이 주지로 취임하여 당시 박정희 대통령 및 육영수 여사 등의 시주로 도량을 중수하였다. 이어서 호국참회원을 건립하고 불교의 평화 염원에 입각한 실천불교와 생활불교운동을 전개하였다.
호국참회원은 1977년 11월 15일에 완공한 종합포교 센터이다. 지하 1층, 지상 3층, 총 면적 1,000평의 콘크리트 한옥식 건물로 법당-영사실-도서실-신앙상담실-수련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문화재로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된 석불이 있다.
'산신이 보좌를 튼 절' 삼천사
도선사와는 산의 반대편에 위치한 진관 외동의 삼천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인 661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 1481년(조선 성종 12)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북한지 세혀호)》에 따르면, 한때는 3,000여 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 했다고 하며, 사찰 이름도 이 숫자에서 따오지 않았나 추측된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승병들의 집합소로 활용되었으나 이후 불에 타 없어졌다. 뒷날 이 절의 암자가 있던 자리에 진영화상이 중창하였다. 1950년 6 - 25전쟁 때 불에 탄 것을 1960년에 중건하고 1978년 성운스님이 중수했으며, 1988년 미얀마에서 부처 사리 3과를 얻어와 석종탑을 세우고 모셔 두었다. 특히 산령각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전통 건축양식인 맞배지붕으로 을해년에 개축하였다.
내부 중앙에는 산신과 호랑이를 그린 산신탱화를 봉안하였는데 산신은 산의 영으로 산을 지키며 산 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하는 신으로 산신령 이라고도 한다.
산의 주인으로서 늘 가람의 뒤쪽에 자리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좌우에 각각 독성탱화와 칠성탱화를 봉안하고 있는데 다른 사찰과는 달리 나무에 새긴 목각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삼각산의 산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런 이유에서 삼천사를 '산신이 보좌를 튼 절’로 부르기도 한다. 영험한 곳으로 소문이 나 많은 기도객의 참배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