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야만따까 딴뜨라

페이지 정보

호수 237호 발행인 인선(강재훈) 발간일 2019-08-01 신문면수 8면 카테고리 밀교 서브카테고리 정성준 교수의 후기밀교

페이지 정보

필자명 정성준 필자법명 -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20-02-11 21:34 조회 4,062회

본문

야만따까 딴뜨라

5b683a19d95885efc5bb5fbcb07d61b8_1581424425_8481.jpg

정성준 교수



5b683a19d95885efc5bb5fbcb07d61b8_1581424433_0148.jpg
 


불교가지 닌 다양한 주제연구가 있지만 밀 교를 비롯 한 종학연 구는 역사 • 교리 •수행 • 의례 •미술 • 지역사 등 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 동안 기고했던 생기차제, 구경차제의 양 수행은 부족하지만 실천의궤를 먼저 다루어 후기밀교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하기 위 한 것이었다. 양 차제에 대한 연구의 완성 은 토대가 되었던 후기밀교경전을 이해 함으로써 완성된다. 인도 후기밀교문헌은 제2의 삼장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오백여 년에 걸쳐 방대한 경전과 논서, 성취의궤 들이 출현하였다. 불공삼장은「십팔회지 귀에서『비밀집회딴뜨라』를 비롯한 일부 후기밀교경전들을 광본『금강정경』에 포 함시켰다. 인도후기밀교는「금강정경j을 구성하는 경전군들의 역사이다. 최고의 진리를 다룬 경전이기 때문에 ‘금강정 (金剛頂)’이란 명칭을 부여하였다. 

현교경전의 정점은『화엄경』으로 경전은 비로자나여래『일체지지j신변을 설한다. 이에 대한 실천의궤가 곧「대일경』이다. 최소한 이러한 시각이 가능하다고 생각된 다. 태장계만다라는 현교의 모든 교학과 수행체계를 종자•수인•불형의 상징체계 를 통해 집적시켰다. 태장계만다라는 인도 불교수행의 혁명을 일으켰다. 보 살수행으로서 문사수혜의 유 가행은 한생 내에 삼장의 섭렵이 불가능 한 현실을 진언문의 출현으로 해결한 것 이다. 인도 후기밀교의 출현도 적집과 실 용의 양면을 전해 받은 것이다. 후기밀교 의 경궤가 보이는 만다라는 진리의 인간 화이며 수행자는 이러한 본존과 제자로서 특별한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인도 후기밀교시대에 출현한 많은 경궤 에는 문수금강이 본존으로 모셔져 있다. 이것은『화엄경』과 밀교의 뿌리 깊은 역 사와 교단, 유파가 유행한 흔적이다. 후기 밀교시대에 보이는 본존의 특이한 유형은 분노존이 다. 문수보살은 후기 밀교시대에 야만따까(yamantaka, 'jigs byed)라는 분노존으로 등장한다. 분노존은 호법존 (dhamiapala) 이나 헤루까(heruka)의 별 칭을 가지고 있다. 후기밀교는 중생의 본 성에 감추어져 있는 심연의 번뇌를 드러 내어 불성으로 환원하는 특징을 보인다. 야만따까는 곧 문수보살의 후기밀교형 신 변이다. 야만따까는 중생이 가지고 있는 무명의 번뇌를 일깨워 문수보살의 지혜로 활성화한다. 그 과정의 역동적이며 적극 

적인 의지가 문수보살의 분노존으로 출현 한 것이다.

야만따까는 다른 이름으로 ‘와즈라바이 라와(Wjrabhairava)’라는 분노존의 전통 을 세워 분노존계의 많은 경궤로 출현하 고 티벳불교에서는 종파를 막론하고 모두 중시되며 올만다라(Ngor Mandalas)의 수집에서는 139만다라의 전통이 있을 정 도로 번성하였다. 야만따까와 와즈라바이 라와의 전통은 10세기 나란다대학의 라리 따와즈라(Lalitavajra)에 의해 시작된 것 으로 당시 나란다대학은 문수보살을 본존 으로 삼는 전통이 유행하였다. 라리따와 즈라는 비전을 통해 우디야나에서 지혜다 끼니로부터 전수받을 인연을 계시 받았다 고 전해진다. 이처럼 인도 후기밀교시대 에서 스승과 제자간의 비밀한 사자상승의 전승이 강조된다.

야만따까는 ‘야마(yama)를 살해한다 (antaka)’는 끔찍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야마는 곧 염라(閣羅)를 가리킨다.『사자의 서』에 따르면 중생은 사망한 후 49일간 의 여정 끝에 내생을 결정하는 순간에 염 라를 만난다. 염라는 중생을 삼계의 수레 에 잡아넣는 존재의 속박과 공포의 현상 화이다. 중생에게는 감당하기 어렵지만 석가모니붓다는 사마(四魔) 가운데 염라, 즉 야마를 조복하고 붓다가 되었다. 야만 따까는 불교수행자로 하여금 관념적인 수 행보다 죽음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경험하 고 극복하도록 유도한다. 야만따까는 여 섯 다리와 여섯 팔, 여섯 얼굴로 이루어 져 있으며 손에는 번뇌를 부수는 여섯 상 징 법구가 들려져 있다. 얼굴은 물소의 모 습을 나타내는데 별존이나 13화신으로 나 타난다. 야만따까에 대한 실제 수행은 자 료로서 겔룩빠의 경우 티곌첸쌩게 (Tri Gyaltsen Senghe)의 별존수행이나, 룬둡 빤디따(Lhundup Pandita)에 의한 13존 수행에 대한 주석이 전해진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