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총지종

총지소식

불교총지종은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표방하고 자리이타의 대승불교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생활불교 종단입니다.

인도의 민간신앙을 불교속으로

페이지 정보

호수 6호 발행인 안종호 발간일 1996-11-18 신문면수 5면 카테고리 밀교개론 서브카테고리 -

페이지 정보

필자명 - 필자법명 효강 필자소속 - 필자호칭 - 필자정보 법장원장 리라이터 -

페이지 정보

입력자 총지종 입력일시 18-04-06 06:17 조회 4,890회

본문

인도의 민간신앙을 불교속으로

c810eb3c177985056cbba96d0b84d1de_1522963038_5772.jpg


4세기 초에 갠지스강 중류지역에 기반을 두고「구푸다」왕조가 일어나  흥하게 되어 차차로 세력범위를 넓히게 되었다. 이「구푸다」왕조가 바라문교를 보호히며 그의 부흥운동까지 힘을 쏟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으로 불교도 급속도로 바라문교의 영향을 강화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불교교단 안으로 마치 못 뚝을 헐어버린 것과 같이 일시에 급속도로 민족신앙 속에 있는 신들, 또는 바라문교적인 쏘규이 쏟아져 들어오게된 것도 이시대의 일이다. 

만다라의 근원이 되는 4 佛 또는 사천 왕도 4〜5세기경에 대두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리고 본래는 바라문교의 의례였던 의례가 불교에 수용된 것도 이때다. 대승경전중 초기의 것을 보면 ‘호마는 바라문교의 의식’이라고 기록되어 있었던 것이 4세‘기경에 이르러 불교경전에 도입되었다 한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자신있게 엄습하는 재난을 피하고, 병고를 치유하고 싶어하는 현세이익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흐름이 불교속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한다. 또한 대승불교에 있어서 신들의 수효 그리고 종류가 대단히 풍부하게 되었다. 

약사 여래, 문수보살, 미륵보살, 관음보살 등 산앙대상을 넓혀나가게 되었다. 불상면에서도 다면다비상, 즉 얼굴 또는 손이 여러 개 있는 힌두신적인 것들이 불교에 도입된다. 그리고 농경사회에 있어서 가장 요긴한 止雨 등 바라문교의 의식 가운데 있던 것이 도입되어 이런 것들을 주제로한 불교경전까지도 출현하게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불교의식도 매우 단순하였던 것이 복잡하게 점차 정비되었으며 불보살명왕 등의  효도 매우 풍부하게 되었지만 지금과 같은「만다라」는 그때까지는 성립되지 않았다. 

「만다라」가 성립된 것은 7세기경에 이르러서였다. 인도의 민족신앙을 수용하면서 또는 정비하면서 착착 준비하였다가 7세기경에 이르러 일거에 꽃이 피었다.

밀교의 역사를 보면 7세기초까지가 초기의 밀교이며, 이 시대를 불교가 종교의식, 주법 등을 수용하면서 밀교가 성립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7세기초에 이르러 大日經 과 金剛頂經성립을 보게 되었다. 

대승 불교의 경전은 기원전후하여 2세기에 이르러 성립된 경전인데 “공" 을 주제로 한 것이다. 또 한편 예로 부터 내려오던 의례적인 것들을 편성하면서 점차로 여러 가지의 밀교경전이 성립되어 나오게 되었다.

대일경과 금강정경등이 양부경전을 중기 밀교경전이라 하여 이때까지 성립된 밀교경전과는 구별하고 있다. 

일본에서 잡밀이라고 하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것들을 여기저기에서 밀교안으로 수용하였다는 뜻이고 순밀은 그러한 것들을 순화하였다는 뜻이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